훈민정음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표명칭 훈민정음
한자명칭 訓民正音
로마자명칭 Hunminjeongeum
영문명칭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for the people
출현시기 1443년 창제 / 1446년 음력 9월 반포
창시자 세종
동의어 정음
유사어 한글, 언문
중심기사 훈민정음 해례본
기획기사 세종의 배려와 통합의 정신


정의

'훈민정음'은 다음의 2가지를 의미한다. 우선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이다. 아울러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을 가리키는 책이름이기도 하다.[1]

내용

  • 문자로서의 '훈민정음' : 세종은 일반 민중이 글자 없이 생활하면서 자신의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음을 마음 아프게 여겼다. 그들 민중은 관청에 호소하려 해도 호소할 길이 없었고, 억울한 재판을 받아도 바로잡아 주기를 요구할 도리가 없었으며, 편지를 쓰려고 해도 그 어려운 한문을 배울 수가 없었다. 또한, 농사일에 관한 간단한 기록도 할 방법이 없었다. 1443년(세종 25) 음력 12월 세종은 ‘훈민정음’이라는 새 글자를 만들어 냈는데, 이러한 독창적인 글자를 만든 일은 세계 역사에 일찍이 찾아볼 수 없었다. 한국의 고유 문자로서의 한글을 일컫는 이름은 여러 가지이다. 세종이 한글을 만들 당시에는 ‘훈민정음’이라 불렀는데, 이는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이 때의 소리는 글자와 통한다. ‘훈민정음’을 줄여 ‘정음’이라고도 하였는데, 이 이름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끝에 있는 정인지의 글에 이미 나타나 있다. ‘언문(諺文)’이라는 이름은 최근까지 쓰였는데, 이것은 그 유래가 오래된 말이다. 원래 ‘언’이란 ‘우리말’ 또는 ‘정음’을 가리키는 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보면, “문(文)과 언(諺)을 섞어 쓸 때는……” 또는 “첫소리(초성)의 ㆆ과 ㅇ은 서로 비슷하여 언에서는 가히 통용될 수 있다. ”라고 하였고, “반혓소리 ㄹ은 마땅히 언에 쓸 것이지 문에는 쓸 수 없다. ”고 하였는데, 여기서‘언’은 우리글·우리말의 뜻으로 쓰인 것이다.[2] 더 자세한 내용 보기
  • 책이름으로서의 '훈민정음' :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1446년(세종 28) 정인지(鄭麟趾) 등이 세종의 명으로 설명한 한문해설서이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解例)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3] 한편 이 속의 '예의'편만을 국역(옛한글 언해)한 책도 있는데, 이는 '훈민정음 언해본' 또는 '언해본 훈민정음'이라고 한다.[4] 이 '훈민정음 언해본'은 현재 온라인으로 디지털화되어 해설과 함께 편리하게 볼 수 있다.[5]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세종 훈민정음 A는 B를 창시하였다 1443년 창제
훈민정음 훈민정음 해례본 A는 B에 언급된다 1446년 반포
훈민정음 언문 A는 B와 유사하다
언문 한글 A는 B와 유사하다
한글 훈민정음 A는 B와 유사하다
집현전 훈민정음 해례본 A는 B를 저술하였다 1446년 간행
정인지 집현전 A는 B에 포함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443년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1446년 세종이 훈민정음을 반포하였다.
1446년 집현전훈민정음 해례본을 간행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8988 126.975914 집현전이 위치했던 경복궁 수정전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이 저술되었다.
37.593845 126.996824 간송미술관훈민정음 해례본이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 단행본
    1. 강신항,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2. 방종현,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48.
  • 논문
    1. 김완진, 「세종대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성곡논총』3, 1972.
    2. 리숭녕, 「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구』2, 1958.
  • 웹자원
    1. "한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강신항, "훈민정음"(간송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강신항, "훈민정음"(언해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훈민정음 언해본", 『네이버 한글한글아름답게』online, 네이버. 최종확인: 2017년 05월 03일.

주석

  1. "훈민정음",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7년 03월 27일 확인 및 발췌·편집.
  2. "한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년 03월 27일 확인 및 발췌·편집.
  3. 강신항, "훈민정음"(간송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5월 28일.
  4. 강신항, "훈민정음"(언해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3일.
  5. "훈민정음 언해본", 『네이버 한글한글아름답게』online, 네이버. 최종확인: 2017년 05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