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섭(摠攝)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직된 승군의 지휘관.

개설

총섭(摠攝)은 불교계 내부의 직책이 아니라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직된 승군(僧軍)의 지휘를 맡기기 위해 승단의 추천을 받아 국가에서 임명하는 직위였다. 전란 초기에는 도총섭(都摠攝)을 보좌하며 주로 산성의 축조와 방어를 관리 감독하였으나, 이후 도총섭이 사라지면서 그 역할까지 맡게 되었다. 전란 이후에는 외적 방어를 비롯해 국가 차원의 각종 부역에 동원된 승군을 통솔하는 임무를 맡았다.

담당 직무 및 변천

승군이 막 조직된 선조대에는 1명의 도총섭이 승군을 지휘하였으나, 승군을 모집하고 동원하는 데 어려움이 컸으므로 그 아래에 총섭을 두게 되었다. 예컨대 당시 도총섭이던 휴정(休靜)은 1593년(선조 26), 휘하의 상주(尙珠)·쌍인(雙印) 등 두 승장(僧將)이 승군을 효율적으로 지휘할 수 있도록 이들을 각각 교종판사(敎宗判事)와 선종판사(禪宗判事)로 임명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판사는 승과(僧科)에 합격한 승려가 받는 법계(法階)가 아니라 고려시대부터 있어 온 해당 관청의 최고 관직이었다.

조정에서는 휴정의 요청을 받아들여 두 승려를 판사로 임명하는 것은 물론이고, 승군을 관리하기 위해 팔도에 선종판사와 교종판사 각 1명씩 총 16명을 도총섭 아래에 두기로 하였다. 그러나 곧 방침을 바꾸어 각 도에 2명씩 총섭을 두도록 하였다. 비변사에서, ‘판사’라는 명칭을 붙이면 마치 조정에서 선종과 교종을 설립한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였기 때문이다(『선조실록』 26년 8월 7일). 이와 같이 총섭 제도는 시대 상황에 따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마련되고 운영되었다.

양란 이후 총섭은 주로 승군을 통솔하고 남한산성과 북한산성 두 곳의 치영(緇營)을 운영하였다. 그밖에 왕과 왕비의 무덤인 능(陵)과 왕세자·왕세자비 및 왕의 사친(私親)의 무덤인 원(園), 그리고 사고(史庫) 등이 자리한 주요 지역의 사찰 주지가 총섭으로 임명되어 왕실의 무덤과 『조선왕조실록』을 수호하는 역할을 맡기도 하였다. 예컨대 강릉 월정사(月精寺), 무주 적상산성(赤裳山城) 호국사, 봉화 각화사(覺華寺), 강화 전등사(傳燈寺) 등을 수호사(守護寺)로 정하고 그 사찰의 주지를 총섭으로 임명하여 『조선왕조실록』을 수호하도록 하였다.

석왕사(釋王寺)·법주사(法住寺)·유점사(楡岾寺)·해인사(海印寺)·동화사(桐華寺)·대흥사(大興寺) 등과 같이 규모가 크고 사회적인 위상과 역할을 지닌 사찰의 주지를 총섭으로 임명하기도 하였다. 그 가운데 동화사에 둔 총섭은 특별히 수릉향탄봉산수호총섭(綬陵香炭封山守護摠攝)이라 불렀다. 조정에서는 동화사 인근의 산림을 수릉(綬陵)의 제향에 쓰이는 향탄(香炭)을 공급하기 위한 특수 용도의 산림으로 지정하였는데, 그와 더불어 동화사의 주지를 총섭으로 임명하여 이 산림을 관리하도록 하고 절에 부과된 각종 부역을 면제해 주었다. 수릉은 순조의 아들로 1827년(순조 27)부터 4년간 대리청정을 하다 세상을 떠난 효명세자 즉 문조(文祖)의 능이다.

한편 남한산성과 북한산성, 용주사 등에도 총섭 1명씩을 두었는데, 그 임명 절차를 남한산성의 예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래 광주유수 겸 수어사가 뛰어난 승려를 택하여 예조에 보고한다. 예조에서는 단자를 병조로 보내 묻고 최종적으로 왕에게 아뢰어 하교를 받는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예조에서 곧바로 임명하기도 하였다.

승군의 지휘관인 총섭은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으로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의 승군 주둔지가 폐지될 때까지 약 300년간 존속하면서 불교 교단을 통솔하는 역할을 하였다. 총섭은 임진왜란 당시에는 승군의 지휘관 역할을 하였으며, 전란 이후에는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을 비롯한 산성의 축조와 수비, 사고(史庫)의 수호, 능원(陵園)의 관리 감독 등을 담당하였다. 그밖에 왕과 왕족을 추모하는 원찰(願刹)의 주지가 총섭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신문관, 1918.
  • 김갑주, 「남북한산성 의승방번전의 종합적 고찰」, 『불교학보』25,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88.
  • 여은경, 「조선후기 대사찰의 총섭」, 『교남사학』3, 영남대학교 국사학과, 1987.
  • 윤용출, 「조선후기의 부역승군」, 『부산대학교 인문논총』26, 1984.
  • 이재창, 「조선조 사회에 있어서의 불교교단」, 『한국사학』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