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舫魚)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방어 |
한글표제 | 방어 |
한자표제 | 舫魚 |
동의어 | 방어(魴魚), 방어(方魚) |
관련어 | 어육장(魚肉醬) |
분야 | 생활·풍속/식생활/음식 |
유형 | 식재료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양미경 |
생산지 | 함경도, 경상도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방어(舫魚)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19년 5월 1일 |
전갱잇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개설
방어(舫魚)는 경상도와 함경도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었으며, 독이 있어 왕실에는 봉진하지 않았다. 방어는 회나 구이·젓갈을 만들어 먹거나, 어육장(魚肉醬)을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원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 「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방어는 경상도와 함경도 지역에서 많이 잡혔다. 세종대에는 함길도(현 함경도)와 강원도 지방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어물(魚物)이 대구어, 연어 및 방어였다(『세종실록』 19년 5월 1일).
연원 및 용도
『조선왕조실록』에는 방어에 대한 기사가 많이 실려 있지 않다. 그 이유를 허균(許筠)의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는데, 방어는 독이 있어 왕께 올리지 않는다고 하였다.
조선중기 문신이었던 이응희(李應禧)는 『옥담사집(玉潭私集)』에서 방어는 살이 두터워 구워서도 잘 먹지 않고, 기름이 많아 먹기가 좋지 않다고 하였다. 하지만 비슷한 시대를 살았던 이정구(李廷龜)는 『월사집(月沙集)』에서 방어로 회를 치고 구우니 그 풍미가 매우 좋아서 술잔이 손에 자주 이르는 것도 모를 정도라고 하였다.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에서는 소금을 넣어 방어젓갈을 만든 후 마르고 단단한 땅에 독을 묻으면 1년 동안 먹을 수 있다고 하였다. 『산림경제(山林經濟)』에는 침어육장법(沉魚肉醬法)이라 하여 어육장 만드는 법이 소개되어 있다.
참고문헌
- 『산림경제(山林經濟)』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옥담사집(玉潭私集)』
- 『월사집(月沙集)』
-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