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효전(景孝殿)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경효전 |
한글표제 | 경효전 |
한자표제 | 景孝殿 |
동의어 | 경소전(景昭殿) |
관련어 | 을미사변(乙未事變), 덕홍전(德弘殿), 경운궁(慶運宮), 덕수궁(德壽宮) |
분야 | 정치/외교/외교사안 |
유형 | 건축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대한제국기 |
왕대 | 대한제국기 |
집필자 | 조재곤 |
장소 | 덕수궁 |
관련 인물 | 명성황후(明成皇后)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경효전(景孝殿) |
1897년(광무 1년) 명성황후 민씨의 신주를 봉안하기 위하여 경운궁에 설치한 건물.
개설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살해당한 명성왕후의 장례 기간에 신주를 봉안하고 제사 지내던 빈전(殯殿)과 혼전(魂殿)의 기능을 하던 곳이었다.
위치 및 용도
원래는 경운궁(慶運宮: 현 덕수궁) 내 고종의 침전인 함녕전(咸寧殿) 바로 서쪽 옆 가까이에 있었다. 명성황후의 빈전과 혼전으로 쓰였으며, 1921년 고종황제 삼년상이 종료되어 명성황후와 고종황제의 신주가 종묘에 함께 부묘(祔廟)될 때까지 관련 상례·제례가 행해졌다.
변천 및 현황
1896년(고종 33) 명성황후의 국장(國葬) 때 빈전인 경소전(景昭殿)이 건립되었다. 1897년 10월 명성황후를 홍릉(洪陵)에 안장한 후 빈전을 그대로 혼전으로 쓰면서 이름을 경효전(景孝殿)이라고 바꾸었다. 1898년 11월 명성황후의 신주를 잠시 경운궁의 정전인 중화전(中和殿)으로 옮겼다. 1904년(광무 8) 4월 경운궁에 큰 화재가 일어나 경효전이 불에 타자 급히 황실도서관인 수옥헌(漱玉軒)으로 옮겼으며, 중건될 때까지 경운궁 남쪽에 자리한 수풍당(綏豊堂) 등으로 옮겨지기도 하였다. 1905년 함녕전 등과 함께 중건되었다. 1910년 대한제국을 강점한 일제는 1912년 약 60,000원의 경비를 들여 증축하고 전 황제(일명 덕수궁 전하)인 고종의 접견실로 만들어 귀빈을 접견하도록 하였다. 이때 건물의 내부를 화려하게 바꾸고 이름도 덕홍전(德弘殿)으로 고쳤다.
형태
관련사건 및 일화
1895년(고종 32) 10월 경복궁을 습격한 일본인에 의하여 명성황후가 시해당하는 을미사변이 발생하였다. 명성황후의 장례는 1896년 시신도 없이 국장으로 진행되었다. 원래 빈전과 혼전은 상례·장례 기간이 끝나면 없애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명성황후의 경우 황후가 사망하였을 때부터 고종황제가 생존해 있는 동안 계속 유지한 것이 특징이었다. 위치상으로도 경운궁의 정전인 중화전 바로 오른쪽에 있었다. 이는 명성황후가 단순히 황제의 배우자에 그치지 않고 대한제국의 위상과 관련하여 중요 인물로 취급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참고문헌
- 『경효전일기(景孝殿日記)』
- 『경효전의궤(景孝殿儀軌)』
- 홍순민, 『우리 궁궐이야기』, 청년사, 2005.
- 小田省吾, 『德壽宮史』, 李王職, 193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