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단기(角端旗)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노부(鹵簿) 행렬에 편성된, 각단이 그려진 의장용 깃발.

개설

노부는 왕 등의 외부 행차에 동원된 의장(儀仗) 행렬을 가리킨다. 궁궐 안에서 시행될 때는 의장이라고 지칭하였다. 왕의 노부는 규모에 따라 대가(大駕), 법가(法駕), 소가(小駕)로 구분되었다. 왕 이외에 왕비의장, 왕세자의장, 왕세손의장 등도 있었다. 노부 행렬에는 통치자의 권위를 상징하기 위해 각종 깃발, 부채, 덮개, 병기, 악기 등의 다양하고 화려한 의장용품이 포함되었다. 각단기는 노부에 참여한 군사들이 들고 가는 의장용 깃발로, 각단(角端)이란 상상의 동물이 그려져 있다.

연원 및 변천

각단은 상상 속의 동물로 코 위에 뿔이 있고, 사방 오랑캐의 언어를 알아들으며, 하루 18,000리를 달린다는 말이다. 착한 왕이 왕위에 있으면서 방외(方外)의 상세한 일을 밝게 통달하면 글을 받들고 온다고 한다.

조선시대 대가노부(大駕鹵簿)와 법가노부(法駕鹵簿)에 2개, 소가노부(法駕鹵簿)에 1개를 세웠다. 왕의 가마인 어연(御輦) 앞에 다른 의장과 함께 진열되었다. 대가노부의 경우 천하태평기(天下太平旗)를 중앙에 두고 삼각기(三角旗)와 용마기(龍馬旗) 사이에 좌우로 진열되었다. 소가노부의 경우 삼각기와 용마기는 오른쪽에, 각단기는 벽봉기(碧鳳旗)와 함께 왼쪽에 진열되었다. 각단기를 든 군사는 청의(靑衣)에 피모자(皮帽子)를 착용하였다.

세종대에 대리청정을 하는 왕세자의 대가의장에는 2개, 소가의장에는 1개가 포함되어 있으나(『세종실록』 30년 3월 24일), 성종대 편찬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왕세자의장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1789년(정조 13) 10월 사도세자묘인 영우원(永祐園)을 수원으로 옮길 때 동원된 노부 행렬에 각단기 1개가 다른 의장과 함께 신여(神轝) 앞에 진열되었다(『정조실록』 13년 10월 5일).

형태

사각형의 흰색 명주 바탕에 각단과 운기(雲氣)를 그리고, 청색·적색·황색·백색으로 채색한다. 깃발의 가장자리에는 불꽃 모양의 술을 달았다. 인조대 이후에는 화염각의 색이 홍색으로 통일되었다.『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의 「품목질(稟目秩)」을 보면, 당시 각단기 2개를 제작하는 데 바탕감 백주(白紬) 5폭 20자, 화염각용 홍주(紅紬) 8자 5치, 깃감 흑주(黑紬) 3자 5치, 끈감 홍주 길이 1자 너비 5푼, 바느질용 홍향사(紅鄕絲) 1돈 5푼, 흑향사(黑鄕絲) 5푼, 저사(紵絲) 1돈, 마사(麻絲) 5돈, 황단(黃丹) 1돈, 진분(眞粉) 4냥, 석자황(石紫黃) 5돈, 하엽 5돈, 삼록(三碌) 5돈, 청화(靑花) 1돈, 동황(同黃) 5돈, 반주홍(磻朱紅) 1돈, 송연(松烟) 5돈, 참먹 2정, 편연지(片臙脂) 2편, 아교 5돈, 부레 2냥, 생모시 1돈, 백반 5돈, 주홍 1냥, 쇠심줄 1냥, 백향사(白鄕絲) 2돈이 필요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300px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의궤반차도와 거동기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