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점사(楡岾寺)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34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금강산의 대표적인 명찰로, 세종대 국가에서 공인한 36사(寺) 가운데 선종에 속한 절.

개설

유점사(楡岾寺)는 강원도 고성군 서면금강산에 위치해 있었다. 인도에서 조성했다고 전하는 53불이 봉안되었다. 고려시대에 대대적으로 중창된 것으로 보이며, 고려후기에 특히 중시되었다. 조선초부터 왕실에서 중시했고, 세종대에 불교를 선·교 양종으로 교단과 사찰을 정리할 때 선종 18사에 속하였고, 여러 차례 중수와 중창을 거쳐 일제강점기에는 금강산에서 가장 큰 사찰로 손꼽혔으나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다.

연원 및 특징

유점사의 개창 시기는 분명치 않다. 다만 13세기 말 민지(閔漬)가 찬술한 사적기에 유점사 창건과 관련된 연기(緣起)가 전한다. 유점사의 연기는 유점사에 봉안되어 있는 53불의 연원을 설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여기에 의하면 석가모니 입적 후 문수보살이 조성한 53구의 불상을 종에 넣어 바다에 띄워 보냈는데, 월지(月氏)의 땅을 거쳐 4년(신라 남해왕 1) 금강산 동쪽 안창현(安昌縣) 포구에 도착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종과 불상을 절에 봉안했는데, 이것이 유점사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중국으로부터의 불교 전래 연도와도 맞지 않는 것으로, 불교와의 오래된 인연을 강조하기 위해 후대에 만들어진 창건 연기이다.

민지의 기록에서는 1168년(고려 의종 22) 500여 칸을 개창하였고, 1189년(고려 명종 19) 조계대선사(曹溪大禪師) 익장(益臧)이 유점사에 머물면서 승려들이 많이 모여들었다고 한다. 또한 1213년(고려 강종 2) 강종이 차와 향을 하사하고 전각을 중수하게 했으나 대몽 항쟁기에 사찰이 황폐화 되었던 것을 1284년(고려 충렬왕 10) 중창 공사를 시작하여 1295년(고려 충렬왕 21) 낙성하였다고 한다. 이 기문은 충렬왕대 낙성 공사가 끝나고 작성된 것인데, 유점사 역시 금강산의 다른 사찰처럼 고려시대 들어 중시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12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성장했던 것으로 보인다.

변천

고려시대뿐 아니라 조선초에도 왕실에서 유점사를 중시했음은 『조선왕조실록』에서 확인된다. 무엇보다도 태조이성계(李成桂)가 유점사를 중시한 것으로 보이는데, 1399년(정종 1) 3월 상왕(上王)이 된 이성계가 유점사에 가서 보살재(菩薩齋)를 베풀려다 그만둔 일이 있었다(『정종실록』 1년 3월 13일). 조선 왕실에서 유점사를 중시하고 있었음은 1406년(태종 6) 3월 불교 종파를 정리하면서 남겨둘 사찰을 정하는 과정에서도 확인된다. 억불 정책으로 추진된 종파 정리를 통해 선종과 교종의 여러 종파에서 공인 사찰을 정하여 해당 절이 소유할 토지와 노비 수를 정하였다. 이때 회암사는 여기에 들지 못하였으나 예외로 하여 전지와 노비를 더 주었고, 표훈사와 유점사 역시 원래 있던 전지와 노비를 그대로 두고 줄이지 않도록 하였다(『태종실록』 6년 3월 27일). 한편 1409년(태종 9) 9월 유점사에 있던 태조의 진영을 가져오게 한 것으로 보아 유점사에 태조의 원당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태종실록』 9년 9월 12일). 1424년(세종 6) 3월 세종은 유명무실해진 각 관(官)의 자복사를 모두 폐지하고, 다음 달에는 기존의 7개 종파를 선·교 양종으로 통폐합하고, 각각 18개씩 총 36개의 사찰만을 공인하였다. 이때 유점사는 선종 18사 중 하나로 공인되어 원속전 205결에 95결을 더해 300결의 전지를 공인해 주었고, 150명의 승려가 거주할 수 있었다(『세종실록』 6년 4월 5일).

1453년(단종 1) 6월 유점사에 실화(失火)가 발생하여 143칸이 전소되자(『단종실록』 1년 6월 6일), 주지를 새로 임명하고 중창하도록 하였다(『단종실록』 1년 12월 13일). 유점사 중창은 세조 때에도 계속되었다. 1467년(세조 13) 세조는 학조(學祖)를 유점사에 보내 절을 중창하게 하였는데(『세조실록』 13년 2월 17일), 이후 세조의 원찰로도 인식되었다.

한편 세조대 유점사와 낙산사 등을 중창하던 당시 역사에 참여했던 승도들에게 공식적으로 신분을 인정해 준 증명서격인 도첩을 주었는데, 성종대는 이로 인해 군액이 줄었음을 문제 삼는 상소가 올라오기도 하였고(『성종실록』 16년 3월 26일), 유점사 수리도감(修理都監)에서 도첩을 준 날짜를 살펴보고 각 도에 알려서 산에서 내려오는 중을 추쇄하여 가짜 도첩을 가진 중을 잡는 방안이 제기되기도 하였다(『성종실록』 23년 1월 17일). 또한 세조는 유점사에 소금을 공급하도록 하고 해마다 백미 50석을 내려주었는데, 성종이 『속록횡간(續錄橫看)』에 이것을 수록하지 않았다는 것을 들어 1496년(연산군 2) 1월부터 유점사에 소금을 하사하는 일을 중지하자는 건의가 지속되었다(『연산군일기』 2년 1월 1일).

1595년(선조 28)에는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유정(惟政)에게 내탕금(內帑金)을 하사하여 유점사를 중건하였고, 광해군대 서궁(西宮)에 유폐당한 뒤에는 『법화경(法華經)』의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을 손수 써서 봉안하기도 하였다. 유점사는 서산 문도들이 활동하던 중심 사찰 중 하나이기도 하다. 서산이 입적한 뒤 문도들은 유명한 문인 사대부에게 비명을 받아 서산의 비석을 세웠는데, 유정(惟政)과 자휴(自休) 등은 휴정의 정골(頂骨)과 사리 몇 과를 유점사 북쪽 언덕에 봉안하였다. 1645년(인조 23) 송월응상(松月應詳)이 입적하자 문도들이 유점사 서쪽 기슭에 부도와 비석을 세웠다.

1697년(숙종 23) 1월 여필용(呂必容)의 상소에 의하면, 조선후기 유점사에서 승려들이 선조·인조·현종의 진영(眞影)을 한 전각에 봉안하고 봄·가을로 재를 올렸음을 알 수 있다(『숙종실록』 23년 1월 12일). 유점사의 이 전각은 언제 만들어진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어필용의 상소 이후 숙종대에 10여 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혁파하자는 신료들과 그대로 두려는 숙종의 의지가 충돌하였다. 1698년(숙종 24) 유점사에 불이 나 열성(列聖)의 영정을 봉안한 유점사 별전(別殿)까지 전소되었다고 하였으나(『숙종실록』 25년 1월 9일), 1708년(숙종 34)에도 유점사에서 인조와 현종의 영정을 봉안하고 기신재를 올린다는 비판이 있었던 것으로 볼 때 화재 이후 새로 건물을 짓고, 선조를 제외한 인조와 현종에 대한 제사가 지속적으로 설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숙종실록』 34년 9월 11일). 또한 1716년(숙종 42)의 기록에 의하면 이 전각은 어실중당(御室中堂)이라 하였는데, 인조와 현종 그리고 왕비의 신위(神位)를 두고 그 앞에 두 개의 큰 상을 놓고 삭망(朔望)과 기신(忌辰), 그리고 왕과 왕비의 생일에 절에서 향사(享祀)하였다고 한다(『숙종실록』 42년 5월 12일).

1759년(영조 35)과 1768년(영조 44)의 화재로 1,000칸의 사찰 건물이 모두 소실되어 1769년(영조 45) 새로 중건하였으나 1793년(정조 17) 건물이 심하게 퇴락하여 다시 중건하였다. 유점사는 고종대에도 한 차례 대대적인 중창을 하였다. 3,000여 칸에 이르는 유점사가 전소된 후 1882년(고종 19) 공명첩(空名帖) 500장을 발급하여 공사에 필요한 비용에 보태주자는 논의가 있었고, 고종은 이를 윤허하였다(『고종실록』 19년 9월 10일).

유점사는 일제강점기에는 31본산 중 하나로 60여 개의 말사가 속한 금강산을 대표하는 대가람이었으나 한국전쟁 때 불타버렸다.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일성록(日省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유점사본말사지(楡岾寺本末寺誌)』
  • 『계곡집(谿谷集)』
  • 『동명집(東溟集)』
  • 『택당집(澤堂集)』
  • 이정, 『한국불교사찰사전』, 불교시대사, 199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