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감양영탕(加減養榮湯)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가감양영탕 |
한글표제 | 가감양영탕 |
한자표제 | 加減養榮湯 |
상위어 | 의학(醫學) |
하위어 | 감초(甘草), 당귀(當歸), 대조(大棗), 방풍(防風), 백작약(白芍藥), 백출(白朮), 숙지황(熟地黃), 생강(生薑), 오미자(五味子), 육계(肉桂), 인삼(人蔘), 원지(遠志), 진피(陳皮), 황기(黃芪) |
관련어 | 가감양영탕(加減養營湯), 양영탕(養營湯), 양영탕(養榮湯) |
분야 | 문화/의학·약학/처방 |
유형 | 약 |
집필자 | 김남일 |
약재 | 백작약(白芍藥), 당귀(當歸), 인삼(人蔘), 백출(白朮), 황기(黃芪), 육계(肉桂), 진피(陳皮), 감초(甘草), 숙지황(熟地黃), 오미자(五味子), 방풍(防風), 원지(遠志), 생강(生薑), 대조(大棗) |
약효 | 허로성손(虛勞成損), 기혈부족(氣血不足) 등을 치료함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가감양영탕(加減養榮湯)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순조실록』 14년 10월 28일 |
백작약, 당귀, 인삼 등이 들어간 인삼양영탕에 약재를 가감하여, 양기가 쇠약하며 기혈이 부족할 때 사용하는 처방.
개설
가감양영탕(加減養榮湯)은 고유한 이름의 지정된 처방이라기보다 인삼양영탕(人蔘養營湯)을 기본으로 하여 병의 양상에 맞추어 약재를 가감한 처방으로 보인다. 술로 볶은 백작약(白芍藥) 2돈, 당귀(當歸)·인삼(人蔘)·백출(白朮)·꿀에 볶은 황기(黃芪)·육계(肉桂)·진피(陳皮)·구운 감초(甘草) 각 1돈, 숙지황(熟地黃)·오미자(五味子)·방풍(防風) 각 7.5푼, 원지(遠志) 5푼, 생강(生薑) 3편, 대조(大棗) 2개에 증상에 따른 약재를 가감하고 달인다. 원방은 허로(虛勞)로 인해 기혈이 부족하고 몸이 마르며 권태롭고 호흡이 짧으며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蕙民和劑局方)』에 나오는 인삼양영탕의 효능은 오래된 허로(虛勞)와 허손(虛損)으로 팔다리가 무겁고[沈滯] 호흡이 가쁘며, 움직일수록 더욱 호흡이 가빠지며, 아랫배가 땅기고 등허리가 강직되어 아프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목구멍과 입술이 마르며[咽乾脣燥], 음식이 맛이 없으며, 양기가 쇠약하며, 기분마저 서글퍼지고 자꾸 누우려 하며, 점점 야위고 오장의 기(氣)도 메말라 회복하기 어려운 병증과 폐와 대장이 모두 허하여 기침[咳嗽]하며 설사[下利]하고, 숨이 가쁘고 가래를 뱉는 병증에 사용한다고 되어 있다. 백작약 3냥[兩], 당귀·진피·황기·계심(桂心)·인삼·젖은 종이에 싸서 불에 구운 백출·구운 감초 각 1냥, 숙지황·오미자·복령(茯苓) 각 7.5돈, 원지 0.5냥을 갈아 매회 4돈을 생강 3편과 대조 2개와 함께 달여 복용한다. 원지는 볶아서 심(心)을 제거하고 쓴다. 설사가 심하고 정액이 저절로 새나가는 증상이 있으면 용골(龍骨) 1냥을 더 넣고, 기침이 심한 증상에는 아교(阿膠)를 더 넣으면 효과가 좋다.
『온역론(溫疫論)』에 나오는 인삼양영탕은 큰 병이 낫고 나서 며칠 후 아직 표리가 허겁(虛怯)하여 식사할 때, 또는 놀랐을 때에 땀이 나는 경우에 사용한다고 되어있다. 인삼, 맥문동(麥門冬), 오미자, 지황(地黃), 당귀, 백작약, 지모(知母), 진피, 감초를 달여 복용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임금의 몸이 여기저기 편치 못하며 다리의 통증도 있는데, 이를 의관이 위기의 부족으로 보고 수라와 탕제로 위를 보호하고 비장을 튼튼히 하자고 하면서 처방은 가감양영탕으로 정하였다는 기록이 있다(『순조실록』 14년 10월 28일). 『일성록』 1814년(순조 14)에도 가감백출산을 정지하고 가감양영탕을 드렸다는 내용, 가감양영탕에 육계(肉桂)를 빼고 드렸다는 내용 등이 남아 있다.
제조법
술로 볶은 백작약(白芍藥) 2돈, 당귀(當歸)·인삼(人蔘)·백출(白朮)·꿀에 볶은 황기(黃芪)·육계(肉桂)·진피(陳皮)·구운 감초(甘草) 각 1돈, 숙지황(熟地黃)·오미자(五味子)·방풍(防風) 각 7.5푼, 원지(遠志) 5푼, 생강(生薑) 3편, 대조(大棗) 2개에 증상에 따른 약재를 가감하고 달인다.
효능
허로(虛勞)로 인해 기혈이 부족하고 몸이 마르며 권태롭고 호흡이 짧으며 식사량이 줄어드는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참고문헌
- 『동의보감(東醫寶鑑)』
- 『방약합편(方藥合編)』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東洋醫學大辭典編纂委員會 編, 『東洋醫學大辭典』, 慶熙大學校出版局, 1999.
- 万友生 外, 『中医方劑大辭典』, 永信文化社.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