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암역(靑巖驛)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00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전라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청암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읍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청암역(靑巖驛)은 고려전기에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승나주도(昇羅州道)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세조대에 역제(驛制)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할 때, 청암도찰방(靑巖道察訪)이 주재(駐在)하는 본역이 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역(驛)은 중앙 집권 체제를 유지하고, 중앙과 지방의 행정 명령 계통을 확립하기 위한 육상 교통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왕명(王命) 및 긴급한 군사 기밀의 전달, 사신의 왕래에 따른 영송지대(迎送支待) 등을 주로 담당하였으며, 그밖에 진상품 또는 공부(貢賦)의 운송 및 왕래인(往來人)의 규찰 등을 맡아보았다. 청암역도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시대부터 호남 지역에 설치되었다.

조직 및 역할

역참에는 역역(驛役)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역리(驛吏)와 역노비(驛奴婢)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역민(驛民)이 편성되어 있었으며, 역의 재정에 충당하기 위해 역위전(驛位田) 또는 마전(馬田)이 지급되었다.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청암역에는 역리 527명, 역노 58명, 역비 29명이 배속되어 역무를 담당하였다. 또 『청암도본외역삼등화모색성책(靑巖道本外驛三等禾毛色成冊)』에 따르면, 마호(馬戶) 1명과 상등마 1필, 중등마 4필 등 총 5필의 역마가 소속되어 있었다. 한편 『호남읍지(湖南邑誌)』에는 동헌(東軒) 4칸, 내동헌(內東軒) 4칸, 작청(作廳) 5칸, 공고(工庫) 3칸, 형방청(刑房廳) 3칸, 서자청(書者廳) 4칸, 급창청(及唱廳) 4칸, 사령청(使令廳) 4칸, 창고 9칸, 하관청(下館廳) 6칸, 내삼문(內三門) 3칸, 진남루(鎭南樓) 3칸 등 총 12개 동의 건물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변천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청암역은 고려시대 승나주도에 속한 30개 속역 가운데 하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1061년(고려 문종 15)에서 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승나주도에 속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초에 전국적인 역도-속역 체계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청암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서 청암역은 단암역(丹巖驛)·선엄역(仙嚴驛)·신안역(新安驛)·녹사역(祿沙驛)·청송역(靑松驛)·영신역(永申驛)·청연역(淸淵驛)·경신역(慶新驛)·가리역(加里驛) 등과 함께 청암도에 소속되었다. 그 뒤 세조 연간인 1462년(세조 8)에는 단암역 등 12개 역과 함께 청암도찰방의 관할이 되었다.

청암역의 위치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에 모두 나주목 관아 북쪽 5리 지점으로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의 행정 구역으로는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읍 청동리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만기요람(萬機要覽)』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청암도본외역삼등화모색성책(靑巖道本外驛三等禾毛色成冊)』
  • 『호남읍지(湖南邑誌)』
  • 조병로, 『조선전기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오일순, 「고려시대 역제의 변동과 잡색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요근, 「고려전기 역제의 정비와 22역도」, 『한국사론』45, 2001.
  • 정요근,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