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려시(鴻臚寺)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5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의 황실 관련 의례를 관장하고, 사신 접대를 담당하였던 예부의 속사(屬司).

내용

명대 홍려시는 조회(朝會)·빈객(賓客)·길흉(吉凶)의 의례를 관장하였다. 국가의 큰 전례(典禮), 교묘(郊廟), 제사(祭祀), 조회, 연향(宴饗), 경연(經筵), 책봉(冊封), 진력(進歷), 진춘(進春), 전제(傳制), 주첩(奏捷) 등의 의례가 있으면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또한 외방 아전의 조근(朝覲), 여러 번방의 입공(入貢), 백관·사신의 복명(覆命), 사은(謝恩),사퇴하는 자가 있으면 홍려시에서 주문(奏文)으로 아뢰어 처리하였다. 청대도 명대의 전례를 따라 동일한 직무를 수행하였지만, 외교 측면에서 사신의 의례 연습에 관련되는 업무만 수행하였다.

홍려시는 황실 관련 각종 의례를 관장하고, 외방과 외국 사신의 왕래에 관련하여 황제의 인견 및 의례 참여를 주관하였기 때문에 조선의 대중국 외교 활동에 밀접한 관련성을 가졌다. 북경에서 조선 사신이 주로 접촉하는 대상은 예부 낭중과 주사, 홍려시 서반과 회동관 제독 등이었다. 특히 홍려시 관원은 의식 연습과 각종 소식의 전달 등으로 조선의 사신들과 빈번하게 접촉하였다. 홍려시 서반 최영(崔瑛)·이상(李相) 등은 중종의 권서국사칙서(權署國事勅書)를 받는 데 도움을 주어 외교 통로로서 역할을 하였다. 또한 홍려시의 관원이 조선에 사신으로 파견된 사례도 많다. 조선초기 임첨년(任添年)·한확(韓確) 등과 같이 공녀로 황비가 된 가족으로 명의 홍려시 관원에 임명된 사례도 있다. 조선에서는 빈객을 담당하는 홍려시를 조선의 예빈시(禮賓寺)와 동일하게 인식하여 대명 외교관청으로 중시하였다.

용례

眞曰 被虜人物解送朝廷時 我以鴻臚寺序班知之 朝廷亦皆知之矣 惟殿下勿慮(『세종실록』 15년 윤8월 11일)

참고문헌

  • 『대명회전(大明會典)』
  • 『대청회전(大淸會典)』
  • 『통문관지(通文館志)』
  • 김경록, 「조선시대 사대문서의 생산과 전달체계」, 『한국사연구』 134, 2006.
  • 김경록, 「조선시대 사신접대와 영접도감」, 『한국학보』 117, 200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