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총섭(山城總攝)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0:4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산성을 축조하고 수비하던 승군의 우두머리.

개설

산성총섭(山城總攝)은 임진왜란 당시부터 전국의 군사 요충지에 산성을 축조하고 경비하는 일을 맡아본 승군(僧軍)의 지휘관이었다. 전란 이후에는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을 경비하는 승군의 우두머리로, 승군을 조직하고 관리 및 통제하는 임무를 맡았다. 1894년(고종 31)에 갑오개혁으로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에 배치된 승군 부대가 폐지될 때까지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수도를 방어하는 역할을 담당하였고, 불교계에서는 교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였다.

담당 직무

총섭은 임진왜란 발발 직후에는 도총섭 휘하에서 도총섭을 보좌하는 직책이었다.

도총섭은 원래 전국의 승군을 통솔하는 1인이었지만, 점차 각 지역별로 도총섭이 임명되었다. 그 후에는 도총섭이라는 명칭마저 사라지고 총섭이 승군의 실질적인 수장이 되었다. 처음에는 각 도에 2명의 총섭이 있었지만 점차 1명으로 축소되었다. 총섭의 주요 임무는 산성의 축조와 방어였으며, 그밖에 사고(史庫) 및 왕실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원찰(願刹) 등의 수호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조선은 임진왜란 발발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산성을 쌓기 시작하였다. 선조는 1593년(선조 26)에 평양을 탈환하고 궁궐로 돌아오는 도중에 산성의 축조에 관심을 기울여 해주의 수양산성(首陽山城)을 보수하고 해주산성을 축성하게 하였다. 그 뒤 본격적으로 경상도·강원도·전라도 등 전국의 요충지에 산성을 쌓거나 보수하고 방어하는 데 힘을 기울이도록 하였다. 그 이듬해에는 총섭장(摠攝長) 유정(惟政)으로 하여금 승군을 동원하여 경상남도 합천의 악견산성(岳堅山城)과 이숭산성(李崇山城)을 축성하게 하였다(『선조실록』 27년 2월 27일).

이처럼 조정에서는 산성을 쌓거나 보수하면서 승군을 대규모로 동원하였다. 그리고 그 효율을 높이기 위해 명망 있는 승려를 도총섭, 총섭, 부총섭 또는 승장(僧將) 등으로 임명하고, 부역에 동원된 승려들에게는 신분증명서인 도첩(度牒)을 발급해 주기도 하였다.

남한산성과 북한산성과 같이 전국의 승려들이 동원되어 돌아가면서 수비를 담당한 산성의 경우에는 승군의 편제가 정비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경상도 가산산성(架山山城)의 승군은 동원된 승군 254명과 이를 통솔하는 영남총섭(嶺南摠攝) 1명, 가산진승장(架山鎭僧將) 1명, 군관인 기패관(旗牌官) 1명 등 모두 257명으로 편제되었다. 그러나 그 밖의 다른 산성들은 그 규모에 따라 편제가 각각 달랐다. 한편 가산산성의 총섭은 때로는 영남도총섭으로 불리면서 영남 일대의 사찰을 장악하였다. 즉 경상도의 승군 전체를 통솔하였을 뿐 아니라 각 사찰의 사무를 주관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조선후기 산성총섭은 승장으로서의 역할에서 한 걸음 나아가 관할 지역의 사찰과 승려에 대한 통제권까지도 지니고 있었다. 이것은 조선후기 불교계의 일반적인 경향이자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여지도서(輿地圖書)』
  •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
  •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신문관, 1918.
  • 여은경, 「조선후기 대사찰의 총섭」, 『교남사학』3, 영남대학교 국사학과, 1987.
  • 여은경, 「조선후기 산성의 승군총섭」, 『대구사학』32, 대구사학회, 198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