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산성(架山山城)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남의 대표적인 관방처로 칠곡도호부(漆谷都護府)를 두었던 경상북도 칠곡군 가사면 가산리에 소재한 산성.

개설

가산산성은 산골짜기의 지형을 이용해 쌓은 석축산성으로, 사적 제216호로 지정되었다. 내성·중성·외성의 삼중으로 축조되었으며, 여기에 영남의 대표적인 관방처인 칠곡도호부를 설치하였다.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성을 쌓는 조선후기 건축기법을 잘 보여주는 산성이다.

위치 및 용도

팔공산의 최고봉인 비로봉에서 시작된 산맥의 서북쪽 15㎞ 지점의 끝부분에 위치한 가산(架山)은 상당히 넓은 평지로 이루어진 평정봉으로, 서북쪽으로 천생산성과 유학산(遊鶴山)에 연결되고, 서쪽으로는 다부동에 접하여 있다. 성안에 객사를 비롯한 관아와 군관청·군기고·보루·포루(砲樓)·장대(將臺) 등이 설치되어 있어 방어를 위한 군사적 목적으로 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변천 및 현황

1639년(인조 17)에 경상감사로 제수된 이명웅(李命雄)이 “도내 60주 성지(城池) 가운데 믿을 만한 곳은 진주(晋州)·금오(金烏)·천생(天生)의 3성뿐이므로 마땅한 곳에 축성할 것”을 아뢰었다(『인조실록』 17년 4월 4일). 도임 후 천생산성은 형세가 험하기는 하나 좁고 우물이 없으므로, 금오산성을 추가로 축성하였다(『인조실록』 17년 6월 19일). 한편 최적지인 팔거현의 가산에 축성할 것을 왕에게 청하여 그해 9월부터 1640년 4월까지 내성을 쌓았다. 가산산성이 축성되면서 5월에는, 오늘날 성주인 경산부(京山府)에 속했던 팔거현이 ‘칠곡도호부(漆谷都護府)’로 승격되고, 이후 약 180년 동안 부의 치소(治所)인 읍치를 산성 내에 두었으며, 진관(鎭管)은 4개 현(군위, 의흥, 신령, 하양)을 관장하였다.

1648년(인조 26)에는 제6대 칠곡도호부사이지형(李枝馨)이 경상감사이만(李曼)과 합심하여, 군병과 승려를 동원하여 불과 수개월 만에 건물·포루·남쪽 곡성(曲城)·북쪽 구책(舊柵) 등을 중수하였다. 외성(外城)은 1700년(숙종 26) 경상도관찰사이세재(李世載)가 장계를 올려 왕의 명으로 1701년에 완성하였다. 중성(中城)은 1741년(영조 17) 경상도관찰사정익하(鄭益河)가 장계를 올려, 왕명으로 그해에 완성하였다. 가산산성에는 식량과 병기를 충분히 비축할 양창(糧倉)과 군기고(軍器庫) 등의 시설을 갖추었다. 특히 중성의 성벽은 내·외성에 비해 작고 동문은 문의 위쪽을 무지개처럼 반원형이 되게 만든 홍예문(虹霓門)이었다. 1812년(순조 12)에는 가산산성에 별장(종9품)을 두고 가산진(架山鎭)을 설치하였다. 칠곡도호부 관아가 험준한 산정에 있게 된 후, 읍민들은 불편한 점이 많아 관아를 옮기기를 갈망하여 왔다. 1819년(순조 19)에 왕명에 의하여, 평지인 팔거구지(八莒舊地)로 읍치를 옮기고, 이후 가산산성은 가산진의 별장이 담당하였다.

현재 가산산성의 성벽은 내성, 중성, 외성의 유구가 거의 남아 있으며, 문지도 남문, 동문, 중문, 서문 및 암문 15개가 남아 있다. 그중에서 동문과 동암문은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또한 지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가산산성 내에 천주사지, 보국사지 등의 사찰 터와 장군의 지휘소인 장대지가 확인되었으며, 우물 9개소, 못 4개소와 성내 비석 13기가 조사되었다. 중수기 편액이 남문루에 걸려 있다. 1971년 3월 26일에 사적 제216호로 지정되었다.

형태

내성의 총길이는 5.071㎞, 면적은 587,433㎡이다. 외성의 총길이는 내성 축조 때 이미 만들어진 동문 좌우 성벽 454m를 제외하고 4.669㎞이며, 면적은 1,509,289㎡이다. 내성을 동서로 가로막아 초축(初築)의 내성 남쪽 1/2을 중성의 공간으로 활용하였는데 중성만의 면적은 359,451㎡이다. 동문과 중문의 좌우 연결 성벽을 포함한 가산산성 축성 총길이는 11.041㎞이며, 동문·중문의 좌우 연결 성벽을 제외하고 내성·외성 모두를 합친 가산산성의 총둘레는 10.164㎞가 된다. 성안의 총면적은 194,742㎡이다.

참고문헌

  • 『칠곡 가산산성 지표조사 보고서』,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1999.
  • 『칠곡군의 문화유산조사 및 문화진흥계획』, 칠곡군·경북과학대학 향토문화재연구소, 1999.
  • 『칠곡군지』, 칠곡군, 199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