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발(響鈸)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0:1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향악정재인 향발무(響鈸舞)를 연행할 때 사용한, 작은 바라 혹은 심벌즈 모양의 타악기.

개설

향발(響鈸)은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동발[鈸]을 울린다[響].”라는 뜻으로, 향발무를 연행할 때 사용한 일종의 악기이자 춤 도구[舞具]를 가리킨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 따르면, 무용수는 놋쇠로 된 향발을 양손에 하나씩,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에 각각 매고 향발무를 추었다. 무용수의 숫자는 연향에 따라 달랐는데, 그에 따라 사용되는 향발의 수에도 차이가 있었다.

연원 및 변천

향발은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향발무에만 사용되었다. 향발 또는 향발무에 관한 가장 이른 시기의 기록은 세종대에 나타나는데, 향발 정재를 비롯해 여러 음악과 춤을 새로 정하여 공연(公宴)에 사용하게 하였다(『세종실록』 31년 10월 3일). 연산군은 향발 정재에 쓸 향발 20부(部)를 급히 만들게 하기도 했다(『연산군일기』 11년 1월 5일).

조선시대 후기에는 숙종이 기로신(耆老臣)들에게 잔치에 베풀면서 향발무를 공연하게 하였으며(『숙종실록』 45년 4월 18일), 영조는 외연(外宴)의 3작 절차에서 무동(舞童)이 향발무를 추도록 정하기도 하였다.(『영조실록』 19년 9월 19일). 한편, 향발은 궁중뿐 아니라 지방의 교방(敎坊)에서 공연되던 향발무에도 사용되었다.

형태

향발의 형태는 『악학궤범』에 자세히 전한다. 향발은 놋쇠로 만드는데, 모양은 동발(銅鈸)과 같지만 크기가 작다. 향발 뒤에 사슴 가죽 끈을 달고, 오색 매듭을 드리운다. 향발의 지름은 2치 1푼이다.

300px

생활·민속 관련 사항

향발은 공연에 따라 제작하는 수량이 달랐다. 1829년(순조 29)의 『순조기축진찬의궤(純祖己丑進饌儀軌)』에 따르면, 8명이 향발무를 공연했으므로 8쌍의 향발을 만들었는데, 총 51냥 3푼의 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그에 비해 1848년(헌종 14)의 진찬에서는 4명이 향발무를 공연하였으므로 4쌍의 향발이 사용되었다.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에 따르면, 이때에는 기존에 있던 향발을 다시 색칠하고 보수해 사용하였는데, 총 27냥 3전 2푼의 비용이 들었다. 두석장(豆錫匠) 1명이 1일간, 다회장(多繪匠) 2명 3일간 매일 식비 3전 6푼을 받으며 향발을 만들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 『악학궤범(樂學軌範)』
  •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
  • 국립국악원,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 평양국립출판사, 『악학궤범』, 1956.
  •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역주,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권3』,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6.
  • 배인교, 「조선후기 지방 관속 음악인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