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등회(燃燈會)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9일 (토) 22:40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석가모니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해 등을 다는 불교 행사.

개설

인도에서 기원한 뒤 중국을 거쳐 전래된 연등회(燃燈會)는 신라시대에 처음으로 설행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대개 음력 1월 15일인 상원(上元)에 개최되었다. 상원 연등회에서 왕은 태조의 영령에 차를 올림으로써 왕권의 위상을 드러내기도 하였으나, 무신 집권기와 원 간섭기를 거치며 상원 연등회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었다. 그에 비해 무신 집권기에 시작된 초파일 연등회는 이후 국가적인 행사로 정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고려시대의 문화를 청산하려는 의도에 따라 상원 연등회가 폐지되었다. 그러나 초파일 연등회는 계속 설행되어 세시풍속이 되었으며, 왕실에서도 조선후기까지 초파일에 연등을 달았다. 연등회의 전통은 오늘날 연등축제로 이어지고 있다.

연원 및 변천

(1) 인도에서의 기원

연등을 밝히는 것은 석가모니가 태어나기 전부터 인도에 있던 풍습으로, 아사세왕은 석가모니의 설법을 듣고 감동하여 기원정사에서 왕사성까지 약 5㎞에 이르는 길에 연등을 달았다고 한다. 그 뒤 연등을 켜는 것은 번뇌와 무지로 가득한 어두운 세계를 밝게 비춰 주는 부처의 공덕을 기려 선업(善業)을 쌓으려는 공양의 한 방법이 되었으며, 불교의 유입과 함께 동아시아에 전래되어 불교 행사로 정착되었다.

(2) 중국의 전래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특별한 날에 등(燈)을 다는 풍속이 있었는데, 이 역시 불교의 전래와 더불어 불교 의식으로 변화하였다. 『역대삼보기(歷代三寶紀)』에 따르면, 후한(後漢)의 효령제(孝靈帝)는 180년(후한 광화 3)에 낙양 불탑사(佛塔寺)에 관리를 파견하여 승려들에게 음식을 제공한 뒤 향을 피우고 연등을 달았다고 한다. 6세기에 양나라의 종름(宗懍)이 지은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서는 2월 8일에 재가 신도들이 팔관재계(八關齋戒)를 닦고 연등을 달았다고 하였고, 동위(東魏)의 양현지(楊衒之)가 편찬한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에는 4월 7일부터 이틀 동안 사람들이 성내에 모여 밤새 연등을 달고 기악을 연주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중국에서는 2세기경부터 불탄일(佛誕日)에 도성을 중심으로 연등회를 개최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이후 연등회는 상원인 음력 1월 15일에 개최되었다. 천관(天官)이 정월 보름에 중생의 선악을 취조한다는 도교의 삼원(三元) 사상과, 연등을 달아 중생의 어리석음을 밝힌다는 불교 신앙이 결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상원 연등회는 당나라 시대에 왕실의 주목을 받아 국가 차원의 상례(常禮)가 되면서 세시풍속으로 자리 잡았고, 그에 따라 사회 통합의 기능도 담당하였다.

(3) 삼국의 전래

중국에서 설행되던 연등회는 고구려·백제·신라에 모두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고구려와 백제에 관련된 기록은 보이지 않고 신라에서 개최된 기록만 확인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866년(신라 경문왕 6)과 890년(신라 진성왕 4)에 각각 왕이 황룡사에 가서 연등을 구경했다고 한다. 이 기록으로 볼 때, 연등회는 866년에 경문왕이 황룡사에 가서 연등을 구경하기 전부터 이미 설행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고려시대 연등회 설행과 절차

고려시대에는 태조가 연등회와 팔관회를 설행할 것을 유훈으로 남김에 따라 매년 거의 빠짐없이 설행되었다. 봄에는 연등회를 개설하고 겨울에는 팔관회를 열었다고 할 정도였는데, 연등회는 음력 1월 15일 또는 2월 15일에 개경에서 행해졌고, 팔관회의 경우 서경에서는 음력 10월 보름에, 개경에서는 음력 11월 보름에 거행되었다.

연등회는 고려초기부터 1009년(고려 목종 12)까지 90여 년간은 음력 1월에, 1010년(고려 현종 1)부터 1146년(고려 인종 24)까지 130여 년간은 음력 2월에, 1147년(고려 의종 즉위)부터 1204년(고려 신종 7)까지 50여 년간은 다시 음력 1월에, 1204년(고려 희종 즉위)부터 1388년(고려 우왕 14)까지 180여 년간은 다시 음력 2월에 개최되었다. 몇 번의 예외가 있긴 했으나, 1월과 2월에서 벗어나지는 않았다.

처음에 1월에 개최되던 행사를 2월로 옮기게 된 것은 거란의 침입 때문이었다. 1009년(고려 현종 즉위) 겨울에 침입한 거란군은 이듬해 정월에 개경에까지 이르렀다. 이에 왕을 비롯한 신하들은 청주행궁으로 피난을 떠났다. 이때 현종은 불력(佛力)으로 거란군의 침입을 막고자 초조대장경을 제작하는 한편 성종대 이후 폐지되었던 연등회를 다시 부활시켜 직접 제사를 올렸다. 이때부터 연등회는 2월에 열리게 되었다. 그 후로 중국과 우리나라의 절기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유 등으로 2월에 열리기도 하고 다시 1월에 개최되기도 하였다.

한편 부처님 탄생일인 음력 4월 8일 즉 초파일에도 연등회가 개최되었다. 국가적인 행사로서의 상원 연등회는 1월 혹은 2월 보름에 설행되었지만, 민간에서는 초파일에도 연등 행사를 개최하였다. 오늘날 초파일에 설행되는 연등회는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가령 의종 연간에는 백선연(白善淵)이 초파일에 별원(別院)에 연등을 달고 왕의 복을 기원했다고 한다. 또 1245년(고려 고종 32) 초파일에는 당시의 최고 실권자였던 최이(崔怡)가 연등회를 베풀었으며, 1258년(고려 고종 45) 4월에는 관등(觀燈)을 기회로 거사한 김인준(金仁俊) 등이 최씨 무신 정권의 마지막 집권자인 최의(崔竩)를 제거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이후 초파일 연등회는 점차 그 비중이 커졌는데, 1271년(고려 원종 12) 4월 7일의 『고려사』 기사에는 초파일에 관등을 하는 것이 국속(國俗)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들로 미루어 볼 때, 원나라 간섭기에 접어들면서 상원 연등회의 위상은 위축되어 간 데 비해 초파일 연등회의 비중은 점차 높아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등회가 열리는 개경은 도성 전체가 연등으로 장식되었으며, 조정에서는 관원들에게 1월 15일을 전후한 3일간 휴가를 주었다. 연등회 전날인 14일은 소회일(小會日), 당일인 15일은 대회일(大會日)이라 하여 각각의 행사를 거행하고, 16일에는 휴식하였다. 소회일의 경우 오전에는 150여 명의 악사와 무용수를 동원하여 궁궐에서 음악 공연을 펼쳤는데, 왕과 왕족 및 귀족들이 함께 모여 관람했다. 오후에는 개경 남쪽에 있는 봉은사에 행차하여 태조의 영령에 차를 올렸다. 봉은사까지 가는 길에는 왕을 필두로 하여 태자와 신하들, 그리고 2,000여 명의 수행원이 행렬을 이루었다. 수행원들은 각양각색의 깃발을 들고 왕을 따르는데, 좌우에는 군사들이 도열했다. 백성들은 장엄한 왕의 행렬을 구경하기 위해 길 좌우로 길게 늘어서서 서로 밀고 당기며 환호성을 질렀다. 밤이 되면 궁중에서는 등석연(燈夕宴)이 베풀어졌는데, 연등 아래에서는 음악이 연주되고, 신하들은 시를 지어 왕에게 바쳤다. 궁궐 밖 성안에서는 곳곳에 매달린 연등에 불이 켜지고, 백성들은 연등을 구경하며 관등놀이를 했다.

대회일에는 3부로 나뉘어 행사가 진행되었다. 제1부는 왕이 편전(便殿)에서 신하들과 함께 음악 공연을 관람하는 예식이 진행되었다. 제2부는 왕과 신하들의 자리 앞에 과실상이 차려지면, 먼저 왕이 자리에 앉고 뒤이어 태자를 비롯한 신하들이 차례로 들어섰다. 태자가 왕 앞에 나아가 축사를 하면 왕은 태자에게 자리에 앉으라고 명했는데, 그에 따라 신하들도 각자 자리에 앉았다. 제3부는 본격적인 연회로, 왕은 신하들에게 차와 술을 권하고, 신하들은 차례차례 왕에게 나아와 만수무강을 기원하며 술과 음식을 올렸다. 이때 음악과 무용이 설행되어 분위기를 북돋았다. 신하들의 예식이 모두 끝나면 왕은 교지를 내려 신하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조선시대 연등회 설행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상원 연등회가 폐지되었지만 초파일 연등회는 계속해서 설행되었다. 1428년(세종 10)에는 좌사간김효정(金孝貞) 등이 상소를 올려 민가의 연등회를 금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세종은 이를 윤허하지 않았다(『세종실록』 10년 3월 22일). 그 이후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초파일 연등회 관련 기록은 다음과 같다.

1478년(성종 9)에 지평 강거효(姜居孝)는, 남녀가 초파일 연등회에 모여 밤새 술 마시고 놀며 희롱하는 폐풍이 있다며 이를 엄히 금할 것을 청하였다. 성종은 그 말이 옳다고 하면서도 사찰과 민가의 연등을 금하지 말라고 하였다(『성종실록』 9년 4월 5일). 1498년(연산군 4)에는 사족(士族)의 부녀들이 월산대군의 재궁(齋宮)에 모여 밤새 관등놀이를 하고, 승려들과 함께 지내기도 하였다(『연산군일기』 4년 4월 30일). 1512년(중종 7)에는 왕의 장인과 내시들이 사찰에 왕래하면서 연등을 달았고(『중종실록』 7년 6월 4일), 1522년(중종 17)에는 부녀 4~5명이 자수궁 산등성이에 모여 관등을 하였다(『중종실록』 17년 4월 28일). 1635년(인조 13)에는 왕이 초파일 저녁에 오색 비단으로 만든 연등 수백개를 후원에 달아 놓고 놀았다(『인조실록』 13년 8월 23일). 1766년(영조 42)에 영조는 자신의 병환 때문에 연등을 달지 못한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관례대로 연등을 달라고 명하였다(『영조실록』 42년 4월 7일). 또 1773년(영조 49) 초파일에는, 도민(都民)들은 부자 형제가 서로 이끌면서 관등을 한다며 혼자인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기도 하였다(『영조실록』 49년 4월 8일).

이상의 내용으로 볼 때, 고려시대부터 국가 행사로 개최된 연등회는 조선초기에 폐지되었지만 왕실과 민간에서는 여전히 연등회의 전통이 유지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후기까지 왕실과 관청에서는 초파일이 되면 관등을 하는 풍습이 전승되고 있었다.

생활·민속적 관련 사항

조선시대의 초파일 연등회는 불교 행사에 머물지 않고 세시풍속이 되었다. 성현(成俔)의 『용재총화』에는, 초파일 연등회가 있는 날에는 부녀자들이 산골짜기에 모여들어 추잡한 소문이 밖에까지 들리는 일이 많았으며, 나이 어린 여승들 가운데는 아이를 낳고 도망가는 자도 많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뿐 아니라 야간 통행이 허락된 초파일 밤의 도성은 곳곳에서 음악 소리가 울려 퍼지고 10리에 걸쳐 봉황과 용의 모양을 한 연등이 불을 밝히는 축제의 공간이었음이 실감나게 묘사되어 있다.

순조대의 학자 김매순(金邁淳)이 지은 『열양세시기』에도 초파일의 풍속이 소개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초파일에는 민가와 관청은 물론이고 상점까지도 모두 등간(燈竿)을 세워 등불을 밝혔다. 민가에서는 자녀의 수에 맞추어 등을 매달았는데, 그 등을 단 모양이 층층으로 이어져 마치 구슬을 꿴 것 같았다고 한다. 아이들은 등간 아래에 자리를 깔고 느릅나뭇잎 떡과 소금을 뿌려 볶은 콩을 먹으면서, 물이 담긴 동이에 바가지를 엎어 놓고 돌려가면서 두드리며 즐겼다.

참고문헌

  • 『용재총화(慵齋叢話)』
  •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 『고려사(高麗史)』
  • 안지원, 『고려의 국가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김형우, 「고려시대 국가적 불교행사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이윤수, 「연등축제의 역사와 문화콘텐츠적 특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이종수, 「조선시대 연등회의 존폐와 불교사적 의미」, 『불교연구』37, 한국불교연구원, 2012.
  • 진철승, 「사월초파일의 민속화 과정 연구」, 『역사민속학회』15, 한국역사민속학회, 200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