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연성법석(四大緣成法席)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9일 (토) 22:40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별의 변괴를 소멸시키기 위해 사대연성(四大緣成)을 염송하는 불교 법회.

개설

일체 존재는 사대의 인연화합에 의하여 이뤄지고 흩어진다는 불교의 기본적인 사상에 입각하여 별의 변괴를 해소하고자 개최된 일종의 소재법석이 사대연성법석(四大緣成法席)이라고 할 수 있다. 사대연성법석은 조선 태조 때 단 1회 개설되었고, 호국 사상에 의거해 개설된 여타의 법석과 절차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연원 및 변천

고려시대 이래 호국법회는 소재도량, 인왕도량, 금강경도량, 금광명경도량, 백고좌법회 등의 형태로 지속적으로 설행되어 왔다. 별의 괴변의 소멸을 빌었던 사대연성법석 역시 호국법회의 하나였는데, 조선시대에는 1394년(태조 3) 1월 4일에 단 1회 개설되었다. 1393년(태조 2)에 별의 괴변이 계속되자 이를 물리치기 위해 태조는 세자를 자운사(慈雲寺)로 보내 사대연성법석을 개설하고 왕이 친히 거둥하여 법석을 관람하였다. 1393년 11월에 달이 묘성(昴星)을 가리거나(『태조실록』 2년 11월 12일) 달이 방성(房星)을 범하는 현상이 있었고(『태조실록』 2년 11월 25일), 12월에는 달이 묘성을 범하는 현상이 있었다(『태조실록』 2년 12월 9일). 이처럼 별의 괴변이 계속되자 그 달 말에는 사형이나 유배형 등의 중범죄를 제외한 죄수들을 사면하고(『태조실록』 2년 12월 28일), 다음해 초에 사대연성법석을 베풀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이처럼 사대연성법석과 십이인연법석 같은 독특한 이름의 법석이 개설되었다. 별이나 하늘에 관계된 괴변을 물리치기 위한 법석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사대연성법석은 인왕도량의 성격을 가졌다고 보인다. 인왕도량은 신라와 고려시대에 행해졌던 국가적 호국법회로, 『인왕경』에 내용에 의거하여 진행되었다.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호국품」의 게송에는 "겁의 불길 타오르니 대천(大千) 세계 함께 무너지고", "모든 세계 중생은 인연 따라 일어나고", "식(識)은 업으로 말미암아 떠다니며 사대(四大)를 타고 일어나 무명과 애착 얽매여 나와 내 것 생기도다."라고 설법하고 있다.

사대란 불교에서 주장하는 물질 구성 요소인 지(地)·수(水)·화(火)·풍(風)을 일컫는데, 사대연성은 모든 것이 사대의 인연으로 생성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또 같은 경전의 「부사의품」에는 "하늘의 가지가지 재앙으로는 구름과 비와 눈이 없고, 땅의 갖가지 재앙으로는 땅이 진동하며 갈라지는 일이 있으며, 혹은 다시 피 흘리는 귀신이 나타나고 새·짐승들의 괴이한 일이 생긴다. 이와 같은 재난이 한량없고 끝이 없으니 하나하나의 재난이 일어나면 다 이 반야바라밀다를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해설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미루어볼 때 사대연성법석은 인왕법석 가운데 다라니를 염송하는 법석의 하나로 보인다. 조선조에 사대연성법석은 더 이상 열리지 않았지만 1398년 천변의 소재를 위한 십이인연법석도 유사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절차 및 내용

별의 괴변을 물리치기 위한 법석으로 사대연성법석이 『인왕경』에 의거하여 열렸다면, 주존 석가모니부처와 동방의 금강수보살, 남방의 금강보보살, 서방의 금강리보살, 북방의 금강야차보살, 중방의 금강바라밀다보살을 청해 모신다. 이때 만약 불상을 조성하지 못하면 그림으로 그리거나 깃발의 번에 성인의 이름을 써서 상단에 걸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법석 차례로 도량을 깨끗이 하는 과정과 청하는 과정을 거쳐 공양을 올린 다음 부처의 이름을 부르는 거불을 하고 경전을 염송하고 해설을 한다.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에는 다섯 보살이 이 다라니(陀羅尼)를 설하자 세존은 "이 다라니를 지니고 외우는 이는 나와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다 항상 가호하고, 모든 악한 귀신이 부처님처럼 공경할 것이며, 오래지 않아 마땅히 아누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것이다."라고 증명하였다고 설명돼 있다. 이 호국인왕다라니를 108편 또는 21편을 염송하고 축원하면 법회를 마치게 된다.

참고문헌

  •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
  •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다라니염송의궤(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陀羅尼念誦儀軌)』
  • 김용조, 「조선전기의 국행기양불사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