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홍국(安弘國)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9일 (화) 22:52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555년(명종 10)~1597년(선조 30) = 43세]. 조선 중기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보성군수(寶城郡守)를 지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순신(李舜臣)과 원균(元均)의 휘하에서 전공을 세웠다. 자는 신경(藎卿)이며,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아버지는 내금위(內禁衛)안언필(安彦弼)이다.

선조 시대의 활동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 병과(丙科)에 25위로 급제하였다.[『무과방목(武科榜目)』]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에는 선전관(宣傳官)으로서 선조를 호위(扈衛)하여 의주(義州)까지 따라갔으며 왕명을 받들어 각 진(鎭)을 다니며 선조의 지시를 전달하였다.[『현종개수실록(顯宗實錄)』현종 8년 12월 25일] 환도(還都)한 뒤 원종일등공신(原從一等功臣)에 녹훈(錄勳)되었고, 이듬해인 1593년(선조 26) 봄에 도총부(都摠府) 도사(都事)에 임명되었다가 다시 특명으로 희천군수(熙川郡守)가 되었으나 부임한 지 3달만에 벼슬을 버리고 상청(喪廳)을 지켰다. 이해 겨울 다시 보성군수가 되었는데 통제사(統制使)이순신이 그의 능력을 인정하여 대장(代將)이나 선봉(先鋒)을 삼았으며 원균의 휘하에서 마침내 중군장(中軍將)이 되어 군무를 맡았다.[『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1957년(선조 30)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일어나자 군선(舟師) 30여 척을 이끌고 안골포(安骨浦)와 가덕도(加德島)에 위치한 적의 주둔지를 공격하던 가운데, <안골포 해전>에서 배 한 척의 군졸을 거느리고 수십 척의 왜선을 격파하고는 탄환에 맞아 전사하였다. 이때의 사적(事蹟)이 이와 같이 대단했음에도 함께 전투에 참여하였던 남이공(南以恭)과 원균은 안홍국이 종일 힘써 싸우다가 탄환을 맞고 죽었다고만 치계(馳啓)하는 바람에 그 사실이 알려지지 않았다.[『선조실록(宣祖實錄)』선조 30년 6월 29일, 『인조실록(仁祖實錄)』인조 21년 12월 17일] 이에 호남의 처사(處士)임준(林埈)은 안홍국을 위해 전(傳)을 지어 안홍국의 사적을 상세히 서술하였다.[『현종개수실록』현종 8년 12월 25일]

1643년(인조 21) 안홍국(安弘國)의 둘째 아들 안종우(安宗遇)가 상소하여 그가 순절한 사실이 알려졌고, 이에 인조(仁祖)가 병조 참의(參議)를 추증하였다.[『인조실록』인조 21년 12월 17일] 이어 1667년(현종 8년) 셋째 아들 안종술(安宗述)의 상소로 작질(爵秩)이 가증(加贈)되었고, 1691년(숙종 17)에는 ‘충현(忠顯)’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현종실록(顯宗實錄)』현종 8년 12월 25일, 『숙종실록(肅宗實錄)』숙종 17년 윤7월 21일] 순천의 충민사(忠愍祠)와 보성의 정충사(旌忠祠)에 제향되었다.[『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40,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별집 권4 「사전전고(祀典典故) 」]

성품과 일화

안홍국은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성씨(成氏)를 매우 정성스레 받들어 맛있는 음식을 거름이 없었으므로, 사람들은 성효(誠孝)라 일컬었다. 1593년 겨울에 보성군수가 되었을 때 나라 안에 큰 기근이 들어 굶어 죽은 시체가 길에 널려 있었다. 안홍국은 두 형이 궁핍하였으므로 조금도 사사로운 남김없이 비축했던 것을 모두 실어 보냈으며, 부임해서는 궁해서 찾아오는 친구가 있으면 녹봉을 나누어 먹었으므로 살아나게 된 자가 매우 많았다. 효우(孝友)와 돈목(敦睦)을 타고났으며, 은혜로 백성을 다스리고 법으로 아전들을 단속하였다.[『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속고(續考) 「왜난(倭難)」]

1597년 보성군수로 제수되어 통영중군(統營中軍)이 되어 주사(舟師)를 총괄하여 다스리면서 죽기를 각오하고 앞장서서 왜적에게 대항하였다. 6월에 왜적과 안골포에서 싸워 배 한 척의 군졸을 거느리고 수십 척의 왜선을 격파하고는, 마침내 탄환에 맞아 죽었다.[『현종실록』현종 8년 12월 25일] 당시 적의 배가 한 겹을 에워싸고 위협할 때 안홍국이 몸을 날려 혈전(血戰)을 벌이며 포위를 돌파하자 적이 분산되었다. 이에 승세(勝勢)를 타고 추격하며 목숨을 내어 놓고 적을 쏘다가 유탄(流彈)이 눈썹을 지나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활을 당기고 살을 쥔 채 돛대에 의지해 앉아 죽었다. 그러나 성낸 기운이 대단하여 얼굴빛이 산사람과 같아서 배가 수리(數里)를 달려서야 비로소 그가 죽은 것을 알았고 적들도 그의 죽음을 모르고 물러갔으므로 아군(我軍)이 온전히 배를 몰고 돌아갈 수 있었다.[『현종실록』현종 8년 12월 25일]

한편 『황명통기(皇明通記)』와 『황명종신록(皇明從信錄)』, 『만력동정기(萬曆東征記)』 등에 안홍국의 사적이 실려 있다.[『현종실록』현종 8년 12월 25일]

묘소와 후손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어비리에 있으며, 순흥 안씨(順興安氏)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또한 묘소 근처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묘봉리에 안홍국의 정려각이 있다.

자녀는 부인 전의 이씨(全義李氏)와의 사이에 4남 1녀를 두었다. 장남 안종적(安宗迪)은 일찍이 죽고 차남 안종우(安宗遇)는 진사(進士)로 벼슬은 예빈시(禮賓寺) 봉사(奉事)에 이르렀으며 삼남 안종술(安宗述)은 용양위(龍驤衛) 부호군(副護軍)이다. 서자 안종선(安宗選)은 무과에 뽑혀 주부(主簿)가 되었고 서녀는 무과 첨지(僉知)공희철(孔希哲)에게 출가하였다.[『국조인물고』]

참고문헌

  •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 『인조실록(仁祖實錄)』
  • 『현종실록(顯宗實錄)』
  • 『현종개수실록(顯宗實錄)』
  • 『숙종실록(肅宗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무과방목(武科榜目)』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