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렴가시(發斂加時)"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24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발렴가시 |
한글표제 | 발렴가시 |
한자표제 | 發斂加時 |
동의어 | 소재신각(所在辰刻) |
관련어 | 백각(百刻), 신각(辰刻), 십이지(十二支), 십이시(十二時) |
분야 | 문화/과학/천문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이은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발렴가시(發斂加時) |
하루의 시간을 신(辰)과 그 미만의 각(刻)으로 표현하는 시각법(時刻法).
개설 및 내용
신은 하루를 자(子)·축(丑)·인(寅)·묘(卯) 등으로 12등분한 시각이며, 각은 하루를 100등분한 시각이다. 일(日) 미만의 분초(分秒)를 12로 곱하고 하루가 10,000분이므로 신법(辰法) 10,000으로 나누어서 그 몫을 그 시각의 신수(辰數)로 한다. 그리고 그 나머지는 각법(刻法) 1200으로 나누어 각(刻)으로 삼는다.
일 미만의 분초 ⨉ 12/10000 = 신(辰) + 나머지(1)
나머지(1) ÷ 1200 = 각(刻) + 나머지(2)
신각(辰刻)의 방법으로 하루 12시(時)를 12신(辰)과 100각(刻), 그리고 10,000분(分)으로 나타낼 때, 신과 각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일(日) = 12신(辰) = 100각(刻) = 10,000분(分)
1신(辰) = 8⅓각(刻)
1각(刻) = 100분(分)
또한 12지(支)의 이름을 붙인 12시와, 이를 다시 초(初)와 정(正)으로 나눈 24시의 관계는 표 1과 같다.
변천
발렴(發斂)은 태양의 적위 변화에 따라 계절이 바뀌고 낮의 길이가 변하는 것을 말하는데, ‘발(發)’은 동지에서 하지로, ‘렴(斂)’은 하지에서 동지로 변하는 것을 가리킨다. 옛사람들은 이 발렴에 의하여 오행(五行)의 작용이 왕성해지는 시기가 변화하며 괘(卦)도 순환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수시력(授時曆)』과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에서 발렴가시는 하루의 시각을 12지(支)의 시간으로 나타내는 신(辰)과 그 미만의 각(刻)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소재신각(所在辰刻)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한편 금(金)나라 때의『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에서는 발렴가시를 발렴(發斂)이라고만 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유경로·이은성·현정준 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칠정산내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 이은희, 『칠정산내편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 華同旭, 『中國漏刻』, 安微科學技術出版社, 1989.
- 陳遵嬀, 『中國天文學史』, 明文書局, 199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