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동(古董)"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21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고동 |
한글표제 | 고동 |
한자표제 | 古董 |
동의어 | 골동(骨董), 골동품(骨董品), 고동서화(古董書畵), 골동서화(骨董書畵) |
관련어 | 소품(小品), 패관소품(稗官小品), 당학(唐學), 문체반정(文體反正) |
분야 | 문화/인문학/어문학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안대회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고동(古董)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정조실록』 16년 10월 24일 |
감상할 만한 가치가 있는 오래된 물건.
개설
고동(古董)은 골동(骨董) 또는 골동품으로 널리 불리며, 서화(書畵)와 함께 쓰여 고동서화(古董書畵) 또는 골동서화(骨董書畵)라고 불리기도 한다. 고대의 청동기나 자기(瓷器), 또는 무기 등과 같이 감상할 만한 가치가 있는 오래된 물건으로, 흔히 수집의 대상이 된다. 조선시대에는 17세기 이후 고동을 수집하고 감상하는 풍조가 유행했는데, 청나라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 영조와 정조 연간에는 한양의 사대부들 사이에서 특히 유행하였다. 이후 예술품을 수집하고 감상하는 상류층의 기호와 부합하여 근대까지 지속되었다. 정조 때는 정치와 문화의 분야에서 패관소품(稗官小品)의 유행과 관련하여 고동의 수집·소유 문제가 사회 문제로 부각되었다.
내용 및 특징
고동은 골동품을 의미하는데, 보통 서화와 함께 고동서화 또는 골동서화로 불린다. 오래된 역사적 유물이나 예술품 등 수집하여 감상할 만한 대상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청동기나 자기, 동전, 무기, 저명한 예술가의 서화 등이 여기에 속한다.
상류층 문사들이 고동서화를 감상한 것은 상당히 오래전부터이지만 문화 행위로 크게 부각된 것은 17세기 이후로, 특히 18세기와 19세기에 성행하였다. 경제적 성장과 문화의 발전 등 여러 측면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지만, 무엇보다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고동서화의 수집과 감상의 열기가 큰 영향을 미쳤다. 이른바 당학(唐學)이라는 중국 문화의 수용에 따른 문화적 욕구의 발산으로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박제가가 『북학의』에서 ‘고동서화’란 항목을 설정한 것은 그 같은 욕구를 반영한 것이다.
고동서화는 특히 정조 때 경화세족(京華世族)을 중심으로 크게 유행했다. 외국 문물의 유입에 민감하게 반응한 이들 계층은 고동서화의 수집과 감상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인물이 정조 때 대사성을 지낸 남공철(南公轍)이었다. 그는 고동서화를 수장한 건물에 고동서화각(古董書畵閣) 또는 고동각(古董閣)이란 현판을 걸고 이를 감상하였다. 한편 고동을 즐긴 상류층은 그들이 창작하는 문장과 시에도 그런 취미를 반영하였는데, 그 결과가 여러 패관소품으로 나타났다. 패관소품의 주요 제재 가운데 하나가 바로 고동서화의 감상과 관련된 것이다.
고동서화가 소품의 창작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정치적인 문제로 비화하였다. 1792년(정조 16)에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있던 남공철이 왕에게 바치는 대책문(對策文)에 ‘고동서화’란 네 글자를 쓴 일이 있었다. 정조는 그것을 문제 삼아 신하들과 성균관 유생들에게 패관소품의 창작을 지양하고 순정한 문장을 지을 것을 요구하는 문체반정(文體反正)을 지시하였다. 그에 따라 문체에 소품의 취향이 있다는 지적을 받은 남공철, 이상황을 비롯한 신하들과 이옥(李鈺) 같은 문인이 반성문을 제출하거나 견책을 받았다(『정조실록』 16년 10월 24일). 정치적인 문제는 그것으로 일단락되었으나, 이후 고동서화를 수집하고 감상하는 풍조는 경화세족 지식인에게 광범위하게 퍼졌고 문체 역시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되었다.
참고문헌
- 『홍재전서(弘齋全書)』
- 『북학의(北學議)』
- 안대회 엮음, 『조선후기 小品文의 실체』, 태학사, 2003.
- 이현일, 「조선후기 고동완상(古董玩賞)의 유행과 자하시(紫霞詩)」, 『한국학논집』37, 200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