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천역(吾川驛)"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04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오천역 |
한글표제 | 오천역 |
한자표제 | 吾川驛 |
상위어 | 경안도(慶安道) |
관련어 | 속역(屬驛), 정역찰방(程驛察訪), 이천도호부(利川都護府), 마전동면(麻田洞面), 역리(驛吏), 역노(驛奴), 역비(驛婢), 오행(吾行)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朝鮮) |
집필자 | 이승민 |
폐지 시기 | 1896년(건양 1) 1월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오천역(吾川驛)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조실록』 3년 9월 12일, 『세조실록』 6년 2월 5일 |
조선시대 경기도의 도로망인 경안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시대에는 성종에서 문종 연간에, 역을 매개로 한 교통로인 역로(驛路)를 22역도(驛道)-525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하였다. 이때 오천역(吾川驛)은 광주도(廣州道) 이천(利川)에 위치해 있었는데, 그 당시 이름은 오행(吾行)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에 오천역으로 개칭되어 경안도(慶安道)에 소속되었다. 그 뒤 세조대에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경안도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로 확립되었다. 이후 조선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건양 1) 1월에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오천역은 고려시대부터 경기도 이천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다. 그 당시의 이름은 오행이었으며, 광주도에 속한 15개소의 역 가운데 하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고려의 역제(驛制)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광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세종 연간에 전국적으로 역도-역로 조직을 갖추는 과정에서 오천역으로 개칭되어 신설된 경안도에 소속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이천 편에 따르면, 오천역에는 대마(大馬) 2필, 기마(騎馬) 3필, 복마(卜馬) 5필 등 총 10필의 역마와, 역리(驛吏) 6명, 역노(驛奴) 3명, 역비(驛婢) 2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오천역은 경기도 양지에서 이천을 거쳐 여주로 나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안동 및 영덕 지역의 진상물과 일본인들이 바치는 공물 등을 수송하는 주요 역 중 하나였다.
변천
1457년(세조 3) 각 도에 있는 역의 관할을 조정하고 정역찰방(程驛察訪)을 두었는데, 이때 오천역은 경기충청좌도정역찰방의 관할이 되었다(『세조실록』 3년 9월 12일). 그 뒤 1460년(세조 6)에는 경기도와 하삼도(下三道) 여러 역의 멀고 가까움을 헤아려 역도를 정비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오천역을 비롯한 경기도의 23개 역이 경기좌도찰방의 관할이 되었다(『세조실록』 6년 2월 5일). 또 1462년(세조 8)에는 병조의 건의에 따라,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해 찰방과 역승을 두면서 41역도-543속역 체제를 확립하였다. 오천역은 이때 경안도에 속하게 되었는데, 이후 조선후기까지 경안도의 속역으로 존속하였다. 1896년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오천역의 위치는 『여지도서』에 이천도호부 서쪽 20리 지점인 마전동면(麻田洞面)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에 비해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이천도호부 서북쪽 25리,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조선총독부 중추원 역원 조사표」에는 이천도호부 서쪽 22리 지점으로 되어 있다. 『1872년 지방지도』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역원 조사표」의 기록을 따르면, 오늘날의 행정 구역상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오천리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여지도서(輿地圖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대동지지(大東地志)』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內藤雋輔, 「高麗驛傳考」, 『朝鮮史硏究』, 京都大學東洋史硏究所, 196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