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화역(堀火驛)"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1:45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굴화역 |
한글표제 | 굴화역 |
한자표제 | 堀火驛 |
상위어 | 황산도(黃山道) |
관련어 | 역도(驛道), 속역(屬驛), 찰방(察訪), 역승(驛丞), 아곡현(阿曲縣), 굴불역(屈佛驛), 성현도(省峴道)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경상도 |
시대 | 고려, 조선 |
집필자 | 성주현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굴화역(堀火驛) |
조선시대 경상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황산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굴화역(堀火驛)은 고려전기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김주도(金州道)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세조 연간에 역제(驛制)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할 때, 황산도(黃山道)를 구성하는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경상도 울산군에 위치해 있었으며,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굴화역은 통일신라의 아곡현(阿曲縣)에서 유래하며, 고려시대에는 굴불역(屈佛驛)으로 불렸다.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김주도에 소속된 31개 속역 가운데 하나로, 오늘날의 울산광역시에 해당하는 울주(蔚州)에 위치해 있었다.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1061년(고려 문종 15)에서 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김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초에 전국적인 역도-속역 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황산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황산역(黃山驛)·잉보역(仍甫驛)·노곡역(奴谷驛)·구어역(仇於驛)·부평역(富平驛)·간곡역(肝谷驛)·윤산역(輪山驛)·위천역(渭川驛)·덕천역(德川驛)·아월역(阿月驛)·성산역(省山驛)·기장신역(機張新驛)·동래신역(東萊新驛) 등과 함께 황산도에 소속되었다.
조직 및 역할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각 지역에 위치한 역의 역속(驛屬)과 역마, 역전(驛田) 등과 관련된 내용이 비교적 상세히 실려 있는데, 굴화역에 관한 기록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변천
1460년(세조 6)에 병조의 건의에 따라 경기도와 하삼도(下三道)의 역을 정비하였다. 1457년(세조 3) 7월에 역승(驛丞)을 없애고 찰방(察訪)으로 하여금 여러 역도를 아울러 관리하게 했는데, 역로가 멀어 제대로 순시하지 못하는 등 각종 폐단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경상도에서는 굴화역을 비롯해 황산도에 속한 10개 속역과 성현도(省峴道)에 속한 15개 속역을 통합하여 황산도를 편성하였다. 그 뒤 1462년(세조 8)에는 각 도의 역참을 혁파하고 역로를 정비하여 찰방과 역승을 두었는데, 이때 굴화역은 황산도역승의 관할이 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까지 황산도의 속역 가운데 하나로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여지도서』 울산군 조에 따르면, 굴화역은 울산군 관아 서쪽 15리 지점인 하곡현의 옛터에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의 행정 구역으로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만기요람(萬機要覽)』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조선전기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오일순, 「고려시대 역제의 변동과 잡색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요근, 「고려전기 역제의 정비와 22역도」, 『한국사론』45, 2001.
- 정요근,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