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다(尙茶)"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0:47 기준 최신판



내시부(內侍府)의 정3품 당하관 관원.

개설

내시부는 궁궐 내 음식물을 감독하고, 청소를 담당하며, 궐문을 수비하고 왕명을 출납하는 등의 임무를 담당하는 관서이다. 내시부의 관원은 환관(宦官)이다. 상다(尙茶)는 음식물 중 다과를 준비하는 일을 담당하며 정원은 1명이다.

담당직무

상다의 담당 직무는 궁궐에서 소용되는 차[茶]의 품질을 검사하고 감독하는 것이며, 다과를 준비하는 일도 함께 담당하였다. 내시부 최고의 관직은 대내의 밥과 반찬의 품질과 종류를 담당하는 상선(尙膳)이 있으며, 정3품 당상관은 술을 빚는 일을 담당한 상온(尙醞)이 있었다. 그다음이 상다였던 것을 보면 차와 다과를 준비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일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다과는 왕과 왕비, 대비, 세자가 궁궐에서 일상적으로 즐기기 때문에도 중요했지만, 중국의 사신이 방문하였을 때 다례(茶禮)의 의식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준비하는 임무로서도 중요했다. 조선후기 정조의 상례(常禮)에서는 주다례(晝茶禮)를 행하게 되었다. 이후의 기록에는 종묘의 망제(望祭)에 상다가 궁위령(宮圍令)으로 차출되어 제례를 준비하고, 제관으로 참여하기도 하였다. 한편 명종대 내시부의 권한이 상승하면서 상다가 말을 조련하도록 하여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명종실록』 14년 9월 29일).

변천

조선 건국 후 문무 관제를 정비하면서 별도로 내시부 관제를 설치하고 환관직으로 삼았다(『태조실록』 1년 7월 28일). 내시부 최고의 관직은 대내의 밥과 반찬의 품질과 종류를 담당하는 상선이며, 정3품 당상관은 술을 빚는 일을 담당한 상온이었다. 그다음이 상다였던 것을 보면 차와 다과를 준비하는 것은 당시 상당히 중요한 일로 인식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경국대전(經國大典)』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정종대왕빈전혼전도감의궤(正宗大王殯殿魂殿都監儀軌)』
  • 張熙興, 『朝鮮時代 政治權力과 宦官』, 경인문화사, 2006.
  • 한우근 외 역;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인문연구실 편, 『(역주)경국대전: 주석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