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작(匏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0:27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포작 |
한글표제 | 포작 |
한자표제 | 匏爵 |
관련어 | 술잔[爵], 제기(祭器) |
분야 | 왕실/왕실의례/길례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정승모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포작(匏爵)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5년 10월 27일, 『세종실록』 5년 10월 27일, 『세조실록』 3년 1월 8일 |
하늘에 제사할 때 사용하는 바가지로 만든 술잔.
내용
포작(匏爵)은 하늘에 제사할 때 사용하는 제기(祭器)의 하나이다. 1423년(세종 5) 예조(禮曹)에서 하늘에 제사할 때에 술을 담는 준(尊)과 제물을 담는 그릇이 있는데 기물은 질그릇[瓦]으로 하고 술잔[爵]은 바가지[匏]로 한다고 하였다. 또한 포작, 즉 바가지술잔은 봉상시(奉常寺)로 하여금 씨를 심어서 준비하게 하며 촉대(燭臺)와 전작과 포작 등은 사용한 뒤에는 묻어버린다고 하였다(『세종실록』 5년 10월 27일).
상제(上帝)에게 제사를 지내는 데에는 송아지[犢] 한 마리, 창벽(蒼壁)·창백(蒼帛) 각 1개, 변(籩) 12개, 두(豆) 12개, 보(簠)·궤(簋) 각 1개, 두(豆) 1개, 등(登) 1개, 비(篚) 1개, 조(俎) 2개, 조(俎) 2개, 향로(香爐) 1개, 향합(香合) 1개, 촉(燭) 2개, 포작(匏爵) 3개, 축판(祝版) 1개의 물품이 소요되었다. 그 가운데 포작은 3개로 매 작마다 받침인 점(坫)이 있고 변두(籩豆)의 남쪽에 둔다.
용례
禮曹啓 謹按杜氏通典 周祀天 尊及薦器以瓦 爵以匏 又用襌勺 匏爵令奉常寺栽種預備 其燭臺襌勺匏爵等 用畢埋之(『세종실록』 5년 10월 27일)
禮曹啓 上帝犢一 壁用蒼 蒼帛一 (중략) 匏爵三(各有坫)(『세조실록』 3년 1월 8일)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