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0:26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상 |
한글표제 | 상 |
한자표제 | 相 |
상위어 | 의물(儀物) |
관련어 | 독(牘), 무무(武舞), 순(錞), 아(雅), 요(鐃), 응(應), 탁(鐲), 탁(鐸) |
분야 | 문화/예술/음악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이정희 |
용도 | 의물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상(相) |
조선전기 궁중 의식에서 무무(武舞)를 춤출 때 사용한 의물(儀物).
개설
상(相)은 고려시대 중국에서 들어왔다. 조선전기에는 제례와 왕이 신하의 노고를 달래기 위해 정월 초하루나 동짓날에 베풀던 잔치인 회례연(會禮宴)에 수반되었던 무무의 주변에 놓였었는데, 조선후기에는 쓰이지 않았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 따르면, 상은 악을 보좌할 뿐 아니라 춤추는 사람의 걸음을 절제시켜주는 기능을 한다고 한다. 상은 춤추는 사람이 진고(晉鼓) 소리에 맞추어, 왼손에 끈을 잡고 오른손의 퇴(槌)로 치면서 연주하였다.
연원 및 변천
상은 1116년(고려 예종 11)에 중국 송나라에서 고려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전래될 때 상고(相鼓)라는 명칭으로 유입되었다. 조선전기 세종대의 경우 궁중에서 각종 제사를 올릴 때 수반되었던 춤과 회례연을 거행할 때 추는 춤의 하나인 무무에서 활용되었다. 제례 의식에서는 한 개, 회례연에서는 두 개가 쓰였다. 즉 사직 제례의 춤 대열에서는 동쪽에 한 개, 종묘·풍운뢰우·선농·선잠·우사·문묘 제례의 춤 대열에서는 서쪽에 한 개가 설치되었다. 회례연에서는 무무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한 개씩 합이 두 개 진설되었다[『세종실록』 오례 길례 서례 악현도], [『세종실록』 오례 가례 서례 악현도].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와 『악학궤범』에 의하면 성종대에는 풍운뢰우·선농·선잠·우사·문묘 제례의 무무에만 상이 진설되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종묘제례와 회례연의 무무 주위에 상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세종대와 차별된다.
형태
북처럼 생겼는데 가로 길이가 길며, 몸통에 끈이 있다. 『악학궤범』에는 『문헌통고(文獻通考)』를 인용하여, 상은 그 형상이 비(鼙) 같은데, 겉은 가죽이고 속에는 겨를 넣고, 받침대에 받쳐놓고 쳐서 악(樂)을 보좌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악학궤범』에 의하면 성종대에 사용된 상의 치수는 통 길이 2자 4치 8푼, 양쪽 가죽 지름 1자 4치 3푼이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예기(禮記)』 「악기(樂記」
- 『문헌통고(文獻通考)』
-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 『악학궤범(樂學軌範)』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