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옥도(雙玉導)"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0:25 기준 최신판



조선시대 왕세자나 왕세손의 관례(冠禮)·책례(冊禮)·입학례(入學禮)·상례(喪禮) 시 착용하였던 관모의 부속품 옥비녀.

개설

관례나 입학례에는 곤룡포(袞龍袍), 책례에는 칠장복(七章服), 상례에는 백포(白袍)와 함께 공정책(空頂幘)을 사용하였고, 공정책의 비녀로 쌍옥도가 사용되었다. 공정책을 쓸 때에는 쌍동계(雙童髻)를 하고 쌍옥도를 꽂는다. 모자를 머리에 쓸 때 모자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원 및 변천

왕세손의 관례와 책례 거행 시에는 쌍동계·쌍옥도·공정책을 갖추어 예복으로 하였으며, “왕세손의 책봉례를 거행할 때 쌍동계, 쌍옥도, 흑색 공정책, 곤룡포, 견룡(肩龍)을 제거한 방룡보(方龍補), 수정대(水晶帶)를 갖추어 입고 행례한다.”고 되어 있다(『인조실록』 26년 8월 13일). 또한 왕세자 책례 시 왕세자관(王世子冠)의 제도를 쌍동계, 공정흑개책, 쌍옥도로 정하여 시행하였다(『현종실록』 8년 1월 13일). 한편, 공정책은 양관(梁冠)의 제도와 비슷하되 정수리 부분을 덮는 모옥이 없는 형태로서 붉은색 끈으로 턱에 매어 고정시켜 착용했던 관모이다. 공정책의 색상은 왕세손의 책봉 때 흑색으로 규정짓고 있다. 이에 따라 공정책은 공정흑개책(空頂黑介幘)으로도 불린다[『인조실록』26년 8월 3번째기사].

상례 복식에는 옥비녀 대신 상아비녀를 사용하였는데, “『오례의(五禮儀)』에 근거하여 졸곡이 지난 뒤 왕세자의 복장은 서연(書筵) 복색인 백단령, 포과대로 하고 공정책도 백포로 바꾸고 쌍옥도도 아잠(牙簪)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하였다[『효종실록』 즉위 6월 8일 6번째기사].

형태

남아 있는 실물 자료가 없어서 상세하게 알 수 없지만, 『국조오례의보서례(國朝五禮儀補序例)』의 도설을 참고하여 보면 비녀머리가 약간 둥근 형태임을 알 수 있다. 현전하는 양관의 비녀에서 추측하여 보면, 비녀머리의 사방이 모두 각이 지고 비녀 몸통은 젓가락처럼 가늘고 긴 형태이다.

  1. 쌍옥도, 『국조오례의서례』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보서례(國朝五禮儀補序例)』
  • 『속국조오례의보(續國朝五禮儀補)』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유희경, 『한국복식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