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전(仁政殿)"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9일 (토) 21:22 기준 최신판



조선후기 법궁인 창덕궁의 정전.

개설

창덕궁이 창건되던 1405년(태종 5)에는 정면 3칸 규모로 지어졌으나 건물이 비좁아 1418년(세종 즉위) 5칸으로 증축되었다(『세종실록』 즉위년 9월 10일).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가장 먼저 복구되었으며 17세기 이후 약 250년 동안 조선왕조 법궁의 정전으로 쓰였다. 조하(朝賀)를 비롯해서 거의 대부분의 정치적 행사가 이곳에서 치러졌다.

1803년(순조 3) 인근 행랑에서 시작된 불길이 번져 전소되었다가 이듬해 다시 지어졌으며 지금 건물은 이때 재건된 것이다(『순조실록』 3년 12월 13일). 경복궁의 근정전(勤政殿)보다 규모는 작지만, 뒤에 언덕을 등지고 지형 조건에 맞추어 좌우 행랑에 높이 차이를 두는 등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한국 건축의 특성이 잘 드러난 점에서 건축적 가치가 높다.

위치 및 용도

창덕궁 내 서남쪽에 남향해 있다. 창덕궁 정문에서 정전까지의 진입 방식이 독특하다. 정문인 돈화문(敦化門)으로 들어가 직각으로 방향을 튼 다음 진선문(進善門)으로 들어서서 다시 왼쪽으로 방향을 틀고 인정문을 지나야 다다를 수 있다. 유사한 방식은 고려시대 궁궐에서 볼 수 있다. 송악산 아래 고려 궁궐은 동쪽에 정문이 있고 서쪽으로 진입하다가 북쪽으로 직각으로 꺾은 다음 다시 서북쪽으로 진입해서 정전에 이른다. 인정전 뒤는 응봉에서 내려오는 경사지의 끝자락이 낮은 언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건물 뒤는 산이 배경을 이루고 있는 셈인데, 이런 모습은 신라 말 이후 불교 사찰의 불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방식이며 궁궐에서는 유일하다. 편전이나 침전이 정전 뒤가 아니고 동북쪽에 놓인 점도 경복궁과 다르다. 창덕궁의 독특한 진입 방식이나 정전 뒤에 언덕을 둔 것은, 지형 조건을 살리고 고려 이전부터 내려오는 건축 배치의 관습을 계승한 결과로 풀이된다.

17세기 이후 창덕궁이 법궁이 되면서 인정전은 왕이 청나라 황제를 향해 절을 올리는 망궐례(望闕禮)나 신하들에게 조하를 받는 의식이 치러지는 장소가 되었다. 경복궁이 정궁으로 쓰이던 조선전기에는 인정전이 상대적으로 쓰임새가 적고 연회도 소규모로 거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17세기 이후 경복궁이 복구되지 못하고 창덕궁이 정궁의 역할을 하면서 인정전의 행사도 더 격식을 갖추게 되었다. 다만 인정전은 근정전보다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대규모 의식을 치르는 데 한계가 있었다. 18세기에는 조하 의례의 절차나 참여 인원을 인정전에 맞추어 조정했으며 그 내용을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에 수록했다.

망궐례나 조하 의식 외에도 인정전에서는 왕비나 왕세자빈 책봉 의식, 존호를 올리는 상존호례(上尊號禮) 등이 치러지고 문과 과거시험의 최종 단계인 전시(殿試)도 이곳에서 치러졌다. 이 밖에 크고 작은 정치적 변동이 있을 때는 반드시 인정전에서 의식을 치렀다. 정전의 좌우 행랑에는 향실, 악기고 외에 왕이 쓸 붓이나 벼루를 관리하는 서방빗 등 정전의 의식을 대비한 관청이 들어서 있었다. 종묘나 사직에 제사가 있거나 왕실 사당이나 왕릉에 제례가 있으면 인정전 월대에서 향을 내리는 의식도 하였다. 서행각의 향실은 이를 대비한 곳이다. 또 제주도에서 진상한 감귤을 성균관(成均館)과 사학(四學)의 유생들에게 나누어 주는 의식인 감제(柑製)도 여기서 거행했다. 동행랑에는 수비하는 군사들이 머무는 내금위(內禁衛) 등 관청이 있었다.

변천 및 현황

창건 시의 건물 규모는 정면 3칸에 지나지 않았으며 2층의 월대를 갖추고 동·서·남면에 행랑을 둔 모습이었다. 좌우 행랑은 상층, 중층, 행랑의 3단으로 나누어 건물 높이를 조금씩 달리 했는데, 경사진 지형 조건을 살린 결과로 추정된다(『태종실록』 5년 10월 19일). 지은 지 불과 14년 만인 1418년에 정전을 정면 5칸으로 증축하기 시작해 이듬해 완성했다. 당초에는 이궁으로 지었기 때문에 정전을 소규모로 지었으나 여기서 각종 의례를 거행하게 되자 실내가 비좁아 증축한 것으로 보인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1608년(광해군 즉위)경 옛 모습대로 복구했다. 1777년(정조 1)에는 인정전 뜰에 품계석을 세웠는데, 의례를 행할 때 문무관이 질서를 지키지 못했기 때문이었다(『정조실록』 1년 9월 6일). 1803년(순조 3) 12월, 선정전(宣政殿) 행각에서 불이 일어나면서 바람을 타고 불길이 번져 건물이 전소되었다. 복구공사는 이듬해에 바로 착수하여 화재 후 만 1년 만인 1804년(순조 4) 12월에 완공하였다. 이때의 공사 내용을 적은 『인정전영건도감의궤(仁政殿營建都監儀軌)』에 의하면, 하부 월대는 기존 시설을 그대로 쓰고 목조 부분만 다시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1842년(헌종 8)에 와서 다시 한 차례 수리했다. 1867년(고종 5) 경복궁이 중건되어 왕이 경복궁으로 옮겨 가면서 한동안 비어 있다가 1907년(융희 1)에 와서 고종이 제위(帝位)를 순종에게 물려주고 순종이 창덕궁으로 이어하면서 다시 정전의 기능을 회복하였다. 이때 건물 일부에 손을 대었는데, 내부 바닥은 본래 전돌이 깔려 있었던 것을 서양식 쪽마루로 깔았으며 실내에는 황제를 상징하는 황색 커튼을 설치했다. 지붕 용마루에는 이씨 왕가를 상징하는 자두꽃 또는 오얏꽃 문양을 다섯 개 설치했다. 이 공사는 일본인 건축 기사가 담당했다.

현재의 건물은 1804년에 다시 지은 것이며 내부는 1907년에 추가한 장식이 그대로 남아 있다. 용마루의 자두꽃 장식도 남아 있다.

형태

2단의 월대 위에 남향해서 건물을 세웠다. 월대는 표면을 다듬은 화강석으로 마무리했다. 상부에 돌난간을 돌리고 난간 기둥에 짐승 조각을 새긴 경복궁 근정전 기단에 비하면 높이도 낮고 장식도 적지만 궁궐 정전의 간결하면서 위엄 있는 단의 모습을 잘 갖추었다. 남쪽 중앙 하월대와 상월대 계단에는 왕의 가마가 지나가는 봉황을 조각한 답도(踏道)를 두었다. 하월대 전면 모서리에는 화재 시를 대비해 물을 담아 두는 청동 드무가 있다. 본래 상월대에는 의식을 거행할 때 향을 피우는 향로가 있어야 하지만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상월대 북쪽으로 낮은 기단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정전이 올라서 있다. 정전은 조선시대 다른 궁궐 정전과 마찬가지로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이다. 다만 기둥 간격에서는 근정전보다 조금 좁아서 전체적으로 근정전보다 면적이 약간 적다. 기둥 위에는 전형적인 19세기 초의 내 4출목, 외 3출목 다포식 공포를 짰다. 지붕은 근정전과 같이 중층으로 꾸몄는데, 창경궁이나 경희궁 정전이 단층인 것과 구별된다.

실내에는 가운데 후면에 어좌를 꾸몄다. 어좌는 조선시대 문헌에서는 당가(唐家)로 표기했는데 3면에 계단을 두고 당가 위에는 일월오악을 그린 병풍을 놓았으며 그 앞에 낮은 병풍인 곡병(曲屛)을 놓고 왕이 앉는 어좌를 두었다. 내부는 상하층이 열린 구조이며 천장은 상층 지붕에만 설치되었기 때문에 천장이 높다. 천장에는 구름 사이로 두 마리 봉황이 나는 모습을 채색으로 그려 넣었다.

출입문은 전면 어칸과 후면 어칸에만 있고 나머지는 하루에 머름을 댄, 빗살로 된 분합문이 달렸다. 창문 역시 황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에 회를 높게 바른 양성을 하여 지붕의 격식을 높였다. 조선후기 궁궐 정전의 본보기이며, 건축적으로도 가장 격식을 갖춘 중층 다포식의 전형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부분적으로 서양식 근대 문물이 가미되었다.

행랑은 『태종실록』에 기록된 창건 시 규모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북쪽은 산을 등지고 있어 행랑을 두지 않고 동·서·남면에만 있으며, 동·서 행랑은 방이 두 줄로 된 복랑(復廊)이고 남행랑은 방이 한 줄로만 된 단랑(單廊)이다.

관련사건 및 일화

왕의 즉위는 선왕의 왕비에게 옥새를 받고 궁궐 정전의 문에서 즉위 의식을 치른 다음에야 비로소 왕의 자격을 얻어 정전에 임하는 것이 관례이다. 문에서 즉위식을 치른 왕은 정전에 나아가 새 왕으로서 교서를 반포한다. 연산군, 효종, 현종, 숙종, 영조, 순조, 철종, 고종 등 여덟 왕이 인정문에서 즉위 의식을 거행하고 인정전에 나아가 즉위교서를 반포했다.

참고문헌

  • 『궁궐지(宮闕志)』
  •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 『인정전영건도감의궤(仁政殿營建都監儀軌)』
  • 『인정전중수도감의궤(仁政殿重修都監儀軌)』
  • 문화재관리국, 『창덕궁 인정전 행각지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5.
  •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의궤에 기록된 조선시대 건축』, 동녘, 2010.
  • 박희용 외, 「창덕궁 인정전 일곽의 공간구성 변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제21권 제11호,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