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립(鬃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종립|한글표제=종립|한자표제=鬃笠|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무관(武官)|분야=생활·풍속/의생활/관모|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최은수|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6201|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ia_11702003_004 『성종실록』 17년 2월 3일]}}
 
{{의복|대표표제=종립|한글표제=종립|한자표제=鬃笠|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무관(武官)|분야=생활·풍속/의생활/관모|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최은수|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6201|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ia_11702003_004 『성종실록』 17년 2월 3일]}}

2017년 12월 9일 (토) 20:50 기준 최신판



말갈기 털[鬃毛]로 만든 무관용 모자.

내용

갓의 재료로 말총이 사용된 것은 1486년(성종 17), 1498년(연산군 4), 1522년(중종 17)의 기록을 통해 확인된다. 말총으로 만든 갓은 당시 사치 품목의 하나로서, 이를 금하자는 상소가 있었음에도 막을 수 없었다. 조선후기에는 무관용 전립에도 말갈기로 만든 종립이 사용되었다.

용례

司僕寺提調尹壕等來啓曰 人人好着鬃笠 故公私馬鬃盡取之 請立法禁之 命議領敦寧以上 鄭昌孫議 鬃帽一禁可也 鬃笠則已載大典 然盜取馬尾甚多 請幷禁之(『성종실록』 17년 2월 3일).

참고문헌

  • 강순제, 「무예도보통지의 관복도설을 중심으로 본 한국의 무예복」, 『한국전통무예 학술대회』, 국립민속박물관, 2004.
  • 姜淳弟, 「우리 冠帽의 始末에 關한 硏究」,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