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담복(淺淡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천담복|한글표제=천담복|한자표제=淺淡服|대역어=|상위어=상복(喪服)|하위어=오사모(烏紗帽), 흑각대(黑角帶)|동의어=|관련어=내상(內喪), 담제(禫祭), 배릉(拜陵), 산재(散齋), 연제(練祭)|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왕실/왕실의례/흉례|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6755|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sa_10101026_002 『숙종실록』 1년 1월 26일]}}
 
{{의복|대표표제=천담복|한글표제=천담복|한자표제=淺淡服|대역어=|상위어=상복(喪服)|하위어=오사모(烏紗帽), 흑각대(黑角帶)|동의어=|관련어=내상(內喪), 담제(禫祭), 배릉(拜陵), 산재(散齋), 연제(練祭)|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왕실/왕실의례/흉례|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6755|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sa_10101026_002 『숙종실록』 1년 1월 26일]}}
14번째 줄: 14번째 줄: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iframe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6755" width="100%" height="700px"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6755"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왕실]][[분류:왕실의례]][[분류:흉례]][[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왕실]][[분류:왕실의례]][[분류:흉례]][[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2017년 12월 9일 (토) 20:47 기준 최신판



연제(練祭) 후 담제(禫祭)까지 입는 아주 옅은 옥색의 상복(喪服).

내용

천담복은 복 중에서 가장 가벼운 복이지만 길복(吉服)은 아니다. 천담복은 상중에 왕이 최복을 입을 때, 문무백관이 제복(除服)을 하였더라도 길복 차림으로 왕을 만나는 것은 합당하지 않으므로, 대궐 안에 들어가거나 진현(進見)할 때에 입는 옷이다. 또한 내상(內喪)에 연제 후부터 담제 전까지 입는 옷이다.

용례

禮曹啓曰 若以五禮儀常時除服之節言之 則百官以衰服入哭 改服淺淡服行禮 祭畢後吉服 而卽今斬衰在身 爲除朞年服 遽着淺淡之服 似爲未安(『숙종실록』 1년 1월 26일).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