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역(南山驛)"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집단기구|대표표제=남산역|한글표제=남산역|한자표제=南山驛|대역어=|상위어=중림도(重林道)|하위어=|동의어=|관련어=광주도(廣州道), 경기좌도정역찰방(京畿左道程驛察訪), 양천현(陽川縣), 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驛丞), 찰방(察訪)|분야=경제/교통/육운|유형=집단·기구|지역=|시대=|왕대=|집필자=홍성욱|설치시기=|폐지시기=|소속관서=|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2838|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ga_10602005_004 『세조실록』 6년 2월 5일]}}
+
{{집단기구|대표표제=남산역|한글표제=남산역|한자표제=南山驛|대역어=|상위어=고산도(高山道)|하위어=|동의어=남산역(藍山驛), 남산역(嵐山驛)|관련어=삭방도(朔方道), 역리(驛吏), 역노(驛奴), 역비(驛婢),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 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驛丞), 찰방(察訪), 문산현(文山縣)|분야=경제/교통/육운|유형=집단·기구|지역=|시대=|왕대=|집필자=홍성욱|설치시기=고려|폐지시기=1896년(건양 원년)|소속관서=|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2837|실록연계=}}
  
조선시대 경기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중림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해 있었음.
+
조선시대 함길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고산도에 속한 .
  
 
=='''개설'''==
 
=='''개설'''==
  
남산역(南山驛)은 고려시대 1061년(고려 문종 15)~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전국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광주도(廣州道)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경기도 지역의 역도인 [[중림도(重林道)]]에 속하게 되었다. 그 뒤 세조대에는 한때 경기좌도정역찰방으로 이속되었다가, 다시 중림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
남산역(南山驛)은 고려시대인 1061년(고려 문종 15)~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전국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동계(東界) 지역의 역도인 삭방도(朔方道)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고산도(高山道)]]에 소속된 역으로 안변도호부의 속현인 문산현에 위치하였다. 역의 명칭은 고려시대에는 남산역(藍山驛) 또는 남산역(嵐山驛)으로 불렸으나, 조선시대에는 남산역(南山驛)으로 개칭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양광도의 역도인 광주도에 속한 15개 속역 가운데 하나로 광주목에 위치해 있었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되면서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삭방도에 속한 42개 속역 가운데 하나였다. 역의 규모에 따라 전국의 역을 1과(科)에서 6과까지로 구분한 6과 체제에서 3과에 해당하는 역으로, 정인(丁人) 45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이후에 삭방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
 
 +
=='''조직 및 역할'''==
 +
 
 +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함경도 안변도호부 조에 따르면, 당시 남산역은 안변도호부 남쪽 25리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역속으로는 [[역리(驛吏)]] 148명, 역노(驛奴) 587명, 역비(驛婢) 341명이 있었으며, 상등마 2필, 중등마 5필, 하등마 13필 등 총 20필의 역마가 배정되어 있었다.
  
 
=='''변천'''==
 
=='''변천'''==
  
조선시대에는 건국 직후부터 수도인 한양을 중심으로 기존의 역로를 개편했는데, 특히 세종대에는 동북 지역을 개척하면서 전국적으로 역로를 재조직하였다. 남산역은 그 과정에서 경신역(慶申驛)·석곡역(石谷驛) 등 5개 역과 더불어 중림도에 소속되었으며[『세종실록』 지리지 경기], 부평도호부 양천현에 위치하였다.
+
고려시대의 역도 체제가 기록된 『고려사』 「병지(兵志)」 참역 조에 따르면 6과 체제로 편성되었을 때의 명칭은 남산역(藍山驛)이었으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문종대 이후에는 남산역(嵐山驛)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역로 정비 과정을 거치면서 남산역(南山驛)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는 "남산역의 예전 명칭은 남산역(藍山驛)으로, 문산현에 있다."는 『세종실록』「지리지」 함길도 조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조 연간인 1460년(세조 6)에는 역로가 멀어 순시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역마 또한 곤폐하다는 병조의 지적에 따라 역로를 개편하였는데, 이때 중림도와 동화도(同化道), 양재도(良才道)의 속역들과 통합되어 경기좌도정역찰방에 속하게 되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ga_10602005_004 『세조실록』 6년 2월 5일]). 그 뒤 성종대에 『경국대전(經國大典)』이 반포되면서 확정된 조선시대 전기의 역도 체제에서 남산역은 다시 중림도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오늘날의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 일대에 위치하였다.
+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남산역은 함길도의 역도인 고산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어 [[역승(驛丞)]]지휘를 받았으며[『세종실록』 지리지 함길도 안변도호부], 성종대에 『경국대전(經國大典)』이 반포되면서 확정된 조선시대 전기의 역도 체제에서도 별다른 변화 없이 고산도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28번째 줄: 32번째 줄: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2838"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2837"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경제]][[분류:교통]][[분류:육운]][[분류:집단·기구]]
 
[[분류:경제]][[분류:교통]][[분류:육운]][[분류:집단·기구]]

2017년 12월 10일 (일) 01:55 판



조선시대 함길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고산도에 속한 역.

개설

남산역(南山驛)은 고려시대인 1061년(고려 문종 15)~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전국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동계(東界) 지역의 역도인 삭방도(朔方道)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고산도(高山道)에 소속된 역으로 안변도호부의 속현인 문산현에 위치하였다. 역의 명칭은 고려시대에는 남산역(藍山驛) 또는 남산역(嵐山驛)으로 불렸으나, 조선시대에는 남산역(南山驛)으로 개칭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삭방도에 속한 42개 속역 가운데 하나였다. 역의 규모에 따라 전국의 역을 1과(科)에서 6과까지로 구분한 6과 체제에서 3과에 해당하는 역으로, 정인(丁人) 45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이후에 삭방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직 및 역할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함경도 안변도호부 조에 따르면, 당시 남산역은 안변도호부 남쪽 25리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역속으로는 역리(驛吏) 148명, 역노(驛奴) 587명, 역비(驛婢) 341명이 있었으며, 상등마 2필, 중등마 5필, 하등마 13필 등 총 20필의 역마가 배정되어 있었다.

변천

고려시대의 역도 체제가 기록된 『고려사』 「병지(兵志)」 참역 조에 따르면 6과 체제로 편성되었을 때의 명칭은 남산역(藍山驛)이었으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문종대 이후에는 남산역(嵐山驛)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역로 정비 과정을 거치면서 남산역(南山驛)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는 "남산역의 예전 명칭은 남산역(藍山驛)으로, 문산현에 있다."는 『세종실록』「지리지」 함길도 조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남산역은 함길도의 역도인 고산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어 역승(驛丞)의 지휘를 받았으며[『세종실록』 지리지 함길도 안변도호부], 성종대에 『경국대전(經國大典)』이 반포되면서 확정된 조선시대 전기의 역도 체제에서도 별다른 변화 없이 고산도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