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피(鹿皮)"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의복|대표표제=녹피|한글표제=녹피|한자표제=鹿皮|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녹비|관련어=올량합(兀良哈), 임아구(林阿具), 호슬(護膝)|분야=생활·풍속/의생활/직물|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태종~고종|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1367|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ga_10810027_002 『세조실록』 8년 10월 27일]}} | {{의복|대표표제=녹피|한글표제=녹피|한자표제=鹿皮|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녹비|관련어=올량합(兀良哈), 임아구(林阿具), 호슬(護膝)|분야=생활·풍속/의생활/직물|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태종~고종|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1367|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ga_10810027_002 『세조실록』 8년 10월 27일]}}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관계망'''== | =='''관계망'''== |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1367"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직물]][[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분류:태종~고종]] |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직물]][[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분류:태종~고종]] |
2017년 12월 9일 (토) 20:46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녹피 |
한글표제 | 녹피 |
한자표제 | 鹿皮 |
동의어 | 녹비 |
관련어 | 올량합(兀良哈), 임아구(林阿具), 호슬(護膝) |
분야 | 생활·풍속/의생활/직물 |
유형 | 의복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태종~고종 |
집필자 | 이민주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녹피(鹿皮)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조실록』 8년 10월 27일 |
호슬(護膝)·주머니·신발·시복(矢服) 등을 만들 때 사용하는 사슴 가죽.
내용
녹피(鹿皮)는 귀한 가죽으로, 왕이 활쏘기를 하게 하거나 격방(擊棒)을 하게 하여 이긴 사람에게 녹피를 하사하였으며, 공이 있는 신하들에게도 녹피를 내려주었다. 1462년(세조 8)에는 올량합(兀良哈)임아구(林阿具)가 귀순하고자 하였으나 전에 지은 죄 때문에 받아들여지지 않을까 두려워하며 녹피를 바치며 정성을 표한 적도 있었다(『세조실록』 8년 10월 27일). 녹피는 녹비라고도 읽었다.
용례
矢箙 (중략) 詩圖 盛矢器 今以猪皮爲之 帶用鹿皮[『세종실록』 오례 군례서례 병기 궁대·시복].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