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춘무(朴春茂)"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1번째 줄: 11번째 줄:
 
박춘무(朴春茂)는 [[찰방(察訪)]]을 거쳐,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사(倡義使)가 되어 의병(義兵)을 일으키고, 의병장 조헌(趙憲)과 함께 호서(湖西) 지방을 지키는데 큰 활약을 하였다. 1593년(선조 26) 3월에도 선거이(宣居怡) 및 허육(許王夏) 등과 함께 적을 차단하였다.[『선조실록(宣祖實錄)』선조 26년 3월 5일]
 
박춘무(朴春茂)는 [[찰방(察訪)]]을 거쳐,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사(倡義使)가 되어 의병(義兵)을 일으키고, 의병장 조헌(趙憲)과 함께 호서(湖西) 지방을 지키는데 큰 활약을 하였다. 1593년(선조 26) 3월에도 선거이(宣居怡) 및 허육(許王夏) 등과 함께 적을 차단하였다.[『선조실록(宣祖實錄)』선조 26년 3월 5일]
  
용병(用兵)에 능하였던 그는 의술(醫術), 특히 침구술(鍼灸術)이 뛰어나 허준(許浚)을 비롯하여, 이연록(李延祿)과 이공기(李公沂), 김영국(金榮國), 정희생(鄭希生), 양예수(楊禮守), 심발, 허임(許任) 등과 함께 [[의관(醫官)]]으로도 활약하였다.[『선조실록』선조 28년 4월 13일, 선조 28년 12월 28일, 선조 29년 5월 11일] 1596년(선조 29) 5월 이후 지방관인 임천군수(林川郡守)가 되어 <[[정유재란(丁酉再亂)]]> 때인 1597년(선조 30) 4월 중순까지 있었다.[『선조실록』선조 30년 4월 21일] 그러다가 같은 해 4월 하순에 [[내의원(內醫院)]]에서 세자에게 침을 놓기 쉽게 가까운 곳으로 그의 부임지를 옮길 것을 건의하였고, 이에 그는 서울과 거리가 가까운 인천부사(仁川府使)가 되었다.[『선조실록』선조 30년 4월 21일, 선조 30년 4월 23일] 그리고 선조 31년(1598) 10월 부평부사(富平府使)가 되었다.[『선조실록』선조 31년 10월 15일]
+
용병(用兵)에 능하였던 그는 의술(醫術), 특히 침구술(鍼灸術)이 뛰어나 허준(許浚)을 비롯하여, 이연록(李延祿)과 이공기(李公沂), 김영국(金榮國), 정희생(鄭希生), 양예수(楊禮守), 심발, 허임(許任) 등과 함께 [[의관(醫官)]]으로도 활약하였다.[『선조실록』선조 28년 4월 13일, 선조 28년 12월 28일, 선조 29년 5월 11일] 1596년(선조 29) 5월 이후 지방관인 임천군수(林川郡守)가 되어 <[[정유재란(丁酉再亂)]]> 때인 1597년(선조 30) 4월 중순까지 있었다.[『선조실록』선조 30년 4월 21일] 그러다가 같은 해 4월 하순에 [[내의원(內醫院)]]에서 세자에게 침을 놓기 쉽게 가까운 곳으로 그의 부임지를 옮길 것을 건의하였고, 이에 그는 서울과 거리가 가까운 인천부사(仁川府使)가 되었다.[『선조실록』선조 30년 4월 21일, 선조 30년 4월 23일] 그리고 선조 31년(1598) 10월 부평부사(富平府使)가 되었다.[『선조실록』선조 31년 10월 15일]
  
 
저서로는 그의 유언 등을 모은 3권 1책의 『화천당집(花遷堂集)』이 있다.
 
저서로는 그의 유언 등을 모은 3권 1책의 『화천당집(花遷堂集)』이 있다.

2018년 1월 9일 (화) 22:44 기준 최신판




총론

[?~? = ?]. 조선 중기 선조(宣祖) 때 활동한 문신이며, 의병장(義兵將)이다. 호는 화천당(花遷堂)이다. 본관은 순천(順天)이고, 거주지는 청주(淸州)이다.

선조 시대 활동

박춘무(朴春茂)는 찰방(察訪)을 거쳐,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사(倡義使)가 되어 의병(義兵)을 일으키고, 의병장 조헌(趙憲)과 함께 호서(湖西) 지방을 지키는데 큰 활약을 하였다. 1593년(선조 26) 3월에도 선거이(宣居怡) 및 허육(許王夏) 등과 함께 적을 차단하였다.[『선조실록(宣祖實錄)』선조 26년 3월 5일]

용병(用兵)에 능하였던 그는 의술(醫術), 특히 침구술(鍼灸術)이 뛰어나 허준(許浚)을 비롯하여, 이연록(李延祿)과 이공기(李公沂), 김영국(金榮國), 정희생(鄭希生), 양예수(楊禮守), 심발, 허임(許任) 등과 함께 의관(醫官)으로도 활약하였다.[『선조실록』선조 28년 4월 13일, 선조 28년 12월 28일, 선조 29년 5월 11일] 1596년(선조 29) 5월 이후 지방관인 임천군수(林川郡守)가 되어 <정유재란(丁酉再亂)> 때인 1597년(선조 30) 4월 중순까지 있었다.[『선조실록』선조 30년 4월 21일] 그러다가 같은 해 4월 하순에 내의원(內醫院)에서 세자에게 침을 놓기 쉽게 가까운 곳으로 그의 부임지를 옮길 것을 건의하였고, 이에 그는 서울과 거리가 가까운 인천부사(仁川府使)가 되었다.[『선조실록』선조 30년 4월 21일, 선조 30년 4월 23일] 그리고 선조 31년(1598) 10월 부평부사(富平府使)가 되었다.[『선조실록』선조 31년 10월 15일]

저서로는 그의 유언 등을 모은 3권 1책의 『화천당집(花遷堂集)』이 있다.

시호와 추증

시호는 민양(愍襄)이다. 후에 참찬(參贊)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祖實錄)』
  •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고대일록(孤臺日錄)』
  • 『난중잡록(亂中雜錄)』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약천집(藥泉集)』
  • 『벽오유고(碧梧遺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