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황(權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인명사전|대표표제=권황|한글표제=권황|한자표제=權愰|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선조~인조|집필자=이현숙|자= 사영(思瑩) |호= 치암(恥庵) |봉작=|시호=|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543년(중종38)|사망=1641년(인조19)|본관=안동(安東)|주거지= 서울 |묘소소재지= 경기도 통진(通津) 명월산(明月山)|증조부= 권욱(權旭) |조부= 권진(權振) |부= 권상(權常) |모_외조=안정나씨(安定羅氏): 나운걸(羅云傑)의 딸|형제=(형)권수(權*) (동생)권희(權憘) · 권훤(權愃) · 권협(權悏)|처_장인=전주이씨(全州李氏): 이천린(李天麟)의 딸|자녀=(1자)권호중(權好中) (2자)권이중(權履中) (3자)권순중(權順中)|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170|실록연계=}}
+
{{인명사전|대표표제=권황|한글표제=권황|한자표제=權愰|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선조~인조|집필자=이현숙|자= 사영(思瑩) |호= 치암(恥庵) |봉작=|시호=|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543년(중종38)|사망=1641년(인조19)|본관=안동(安東)|주거지= 서울 |묘소소재지= 경기도 통진(通津) 명월산(明月山)|증조부= 권욱(權旭) |조부= 권진(權振) |부= 권상(權常) |모_외조=안정나씨(安定羅氏): 나운걸(羅云傑)의 딸|형제=(형)권수(權*) (동생)권희(權憘) · 권훤(權愃) · 권협(權悏)|처_장인=전주이씨(全州李氏): 이천린(李天麟)의 딸|자녀=(1자)권호중(權好中) (2자)권이중(權履中) (3자)권순중(權順中)|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170|실록연계=}}
  
 
=='''총론'''==
 
=='''총론'''==
  
[1543년(중종38)∼1641년(인조19) = 99세]. 조선 중기 선조~인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사영(思瑩)이고, 호는 치암(恥庵)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중추부(中樞府)]][[동지사(同知事)]][[권상(權常)]]의 아들이고, 도승지(都承旨)[[권희(權憘)]]와 예조 판서[[권협(權悏)]]의 형이다. 나운걸(羅云傑)의 외손자이고, 이천린(李天麟)의 사위이다. 조선 시대 사대부로서 백수(白壽)를 누린 유명한 인물이다.
+
[1543년(중종38)∼1641년(인조19) = 99세]. 조선 중기 선조~인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사영(思瑩)이고, 호는 치암(恥庵)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중추부(中樞府)]][[동지사(同知事)]][[권상(權常)]]의 아들이고, 도승지(都承旨)[[권희(權憘)]]와 예조 판서[[권협(權悏)]]의 형이다. 나운걸(羅云傑)의 외손자이고, 이천린(李天麟)의 사위이다. 조선 시대 사대부로서 백수(白壽)를 누린 유명한 인물이다.
  
 
=='''선조 시대 활동'''==
 
=='''선조 시대 활동'''==
17번째 줄: 17번째 줄:
 
=='''묘소와 비문'''==
 
=='''묘소와 비문'''==
  
묘소는 경기도 통진(通津) 명월산(明月山)에 있으며, 이서우(李瑞雨)가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 있다. 사후에 숭정대부(崇政大夫)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었다.
+
묘소는 경기도 통진(通津) 명월산(明月山)에 있으며, 이서우(李瑞雨)가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 있다. 사후에 숭정대부(崇政大夫)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었다.
  
 
=='''관력, 행적'''==
 
=='''관력, 행적'''==

2018년 1월 9일 (화) 22:45 기준 최신판




총론

[1543년(중종38)∼1641년(인조19) = 99세]. 조선 중기 선조~인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사영(思瑩)이고, 호는 치암(恥庵)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중추부(中樞府)동지사(同知事)권상(權常)의 아들이고, 도승지(都承旨)권희(權憘)와 예조 판서권협(權悏)의 형이다. 나운걸(羅云傑)의 외손자이고, 이천린(李天麟)의 사위이다. 조선 시대 사대부로서 백수(白壽)를 누린 유명한 인물이다.

선조 시대 활동

선조 초년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음보(蔭補)로서 금오랑(金吾郞)에 임용되었다가, 위솔(衛率)로 승진하였다. 이때부터 10여 년 동안 형조 좌랑 · 호조 좌랑을 거쳐 호조 정랑이 되었다가 장악원(掌樂院)첨정(僉正)에 이르렀다. 외방으로 나가 1596년(선조29) 거창현감(居昌縣監)을, 1599년 한산군수(韓山郡守)를, 1601년 순창군수(淳昌郡守)를, 1604년 고양군수(高陽郡守)를 역임하였다. 마지막으로 마전현령(麻田縣令)을 지낼 때에는 사형수의 무죄를 밝혀내어 현명한 수령관으로 소문이 났으며, 또 청백리로 이름이 났다. 광해군(光海君) 시대 혼란기를 맞아 세상의 일과 단절하고 아우 권희 · 권협과 같이 아침저녁으로 만나 담소(談笑)하면서 매우 즐겁게 살았다.

인조 시대 활동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나이가 이미 80세였으나, 가선대부(嘉善大夫)용양위(龍驤衛) 부호군(副護軍)에 임명되었으며, 1640년(인조18) 자헌대부(資憲大夫)중추부(中樞府)지사(知事)로 승진하였다. 인조 시대 여러 원로 재상들이 모여서 기로회(耆老會)를 만들었는데, 그 중에 그의 나이가 가장 많았으나 시도 잘 짓고 그림도 잘 그려서 다른 사람들의 부러움을 샀다. 1641년(인조19) 10월 하찮은 병에 걸려서 세상을 떠났다. 그날 밤 달이 없었는데도 이상한 광채가 환하게 집안 정원에서 일어났는데, 며칠간 계속되다가 사라졌다. 그가 향년 99세로 세상을 떠나자, 사람들이 모두 ‘인간 신선’이 떠났다며, 하늘을 보고 “2, 3개월만 더 살게 하였더라면 1백 세가 찼을 터인데, 왜 하늘은 매우 많은 것을 주고도 아주 적은 것을 주지 않는다는 말인가?”라고 원망하였다고 한다.

묘소와 비문

묘소는 경기도 통진(通津) 명월산(明月山)에 있으며, 이서우(李瑞雨)가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 있다. 사후에 숭정대부(崇政大夫)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朝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눌은집(訥隱集)』
  • 『죽천집(竹泉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