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정(淸和亭)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전기 태종 때 이성계의 사저였던 경덕궁(敬德宮)에 지었던 정자.

개설

개성에서 역성혁명으로 창건된 조선왕조는 한때 개성을 그대로 수도로 이용했으며, 한양 천도 이후에도 이를 매우 중시하여 개성유후사(開城留後司)를 두었다가 후에 한성부에 짝하는 개성유수부(開城留守府)로 정비해 갔다. 조선왕조는 개성을 구왕조의 수도라 하여 무조건 파괴하지 않았고 오히려 현왕조가 탄생한 새로운 왕조의 왕도이자 조상들이 살았던 고향이라 하여 우대하였다. 개성은 조선왕조가 개창된 용흥(龍興)의 도시였고, 동시에 사신들이 오고가며 머물던 사신 경유지로 상업이 발달한 경제도시였다. 조선초기 왕들은 개성을 방문하여 궁에서 연회를 베풀고 왕릉을 참배하였고, 사신들은 진전에 가서 참배하고 경덕궁에서 연회를 가졌다.

개성에 있는 경덕궁은 태조의 옛집이자 태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 살았던 잠저였는데, 태종이 왕위에 오른 뒤 더 넓혀서 짓고 궁으로 삼았다. 경덕궁은 개성이 수도로 있을 때는 물론 한양으로 다시 천도한 후에도 태종이 거처하는 궁으로 사용하였다. 태종은 경덕궁에서 사신들을 맞이하거나 잔치를 베풀었는데, 이러한 것을 행하던 곳이 경덕궁 내에 마련된 정자인 청화정(淸和亭)이었다.

위치 및 용도

개성중부 남계방(南溪坊) 내 추동(楸洞)에 있는 경덕궁은 태조이성계(李成桂)의 옛집이자 태종의 잠저(潛邸)이기도 하였다. 태종은 추동에 있던 사저를 중수하여 경덕궁으로 삼고 수시로 이곳에 순행하였다(『태종실록』 18년 2월 6일).

이곳은 생활공간이자 연회공간이었다. 태종은 대군들과 활쏘기를 하거나, 사신을 맞이하거나 정무를 볼 때에는 청화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자,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이 청화정에서 정무를 보는 것은 합당치 않다고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태종실록』 4년 9월 16일).

변천 및 현황

경덕궁은 추동궁(楸洞宮)이라 불려졌다. 경덕궁은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았고, 2대 정종이 한양에서 개성으로 환도한 후 이곳에서 2년여 간 살았다. 그 뒤를 이은 태종 또한 1405년(태종 5) 한양으로 환도하기 전까지 궁으로 사용하였다. 경덕궁은 조선왕조가 개성에 도읍을 두었을 때 사용하던 궁궐로 서쪽 작은 언덕에 높이 솟아 있어 성대한 외관을 자랑했다. 태종은 수시로 이곳에 순행하였고, 왕위에 오른 뒤 너 넓혀서 짓고 궁으로 삼았다. 1401년(태종 1)에 정전(正殿)이 좁다고 하여고쳐 지어 넓히고, 궁 북쪽에다 정자를 지었는데, 이것을 청화정(淸和亭)이라 명명하였다(『태종실록』 1년 윤3월 11일). 이후 태종은 피방(避方)할 곳으로 삼아 경덕궁을 수리하고 누각과 청량정(淸凉亭) 등 새 건물을 지었다. 피방은 재액의 방위를 피하기 위하여 거처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을 일컫는다. 경덕궁에는 각종 사무를 맡아볼 제조(提調) 2명을 두고, 개성부 도사(都事)로 하여금 관리하게 하였다. 경덕궁은 개성의 가장 중요하고도 중심이 되는 건물이 되었다. 그러나 경덕궁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

관련사건 및 일화

경덕궁에는 궁지기를 두었는데, 세조대의 공신이었던 한명회(韓明澮)가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협력하여 실권을 잡기 전에 한때 경덕궁지기를 했었다.

참고문헌

  • 한희숙, 「조선 초기 개성의 위상과 기능」, 『역사와 현실』79, 한국역사연구회, 2011.
  • 한희숙, 「조선 초기 개성의 경관 변화」, 『조선시대사학보』62, 조선시대사학회, 2012.
  • 한희숙, 「조선시대 개성의 목청전과 그 인식」, 『역사와 담론』65, 호서사학회, 201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