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골타자(熊骨朶子)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특수한 신분층의 지위를 상징하기 위해 사용하던 병장기류 의장.

개설

웅골타자는 골타(骨朶)라는 타격기의 한 종류이다. 봉(捧)의 끝부분에 철 종류의 타격부를 부착하여 공격하는 병기류이지만, 골타는 숙위의 의장용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조선에서도 몇 가지 종류의 골타를 의장물로 채택하였는데, 웅골타자는 왕과 왕세자의 의장에 사용되었다.

연원 및 변천

봉에 타격부를 부착한 골타는 배가 나온 것을 의미하는 중국어 발음에서 전용되어 지칭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타격용 병장기이기는 하지만, 타격부의 다양한 모양과 장식이 가능해서 의장용으로도 광범위하게 채택되었다. 고려의 노부(鹵簿) 편성에서는 확인되지 않지만, 당·송 이래의 중국 왕조의 의장으로 사용되었고, 특히 원에서는 다양한 골타가 의장에 동원되었다.

의장용 병장기는 실제 살상 기능은 퇴화되고 장식이나 상징 기능이 강조되는데, 조선에서 채택한 골타의 경우도 타격부의 타격 기능은 사실상 제거된 의장물이다. 웅골타자는 표범가죽으로 장대 끝을 덮어씌운 표골타자(豹骨朶子)와 함께 초기부터 사용된 의장물이다. 강한 색상의 봉과 화려한 타격부 장식을 갖추어 시선을 끌기 좋은 의장물이었다. 골타 자체가 갖는 특별한 상징성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조선에서는 대장(大仗)·반장(半仗)·소장(小仗) 등 모든 등급의 왕 의장에 반드시 포함되는 의장물이었고, 왕세자 의장에도 사용되었다.

형태

웅골타자는 붉은 칠을 한 봉에 머리 부위를 둥글게 하여 곰 가죽 주머니를 덮어씌우며 주칠봉(朱漆棒) 끝에는 쇠 장식을 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춘관통고(春官通考)』
  • 『통전(通典)』
  • 『문헌통고(文獻通考)』
  • 『대명집례(大明集禮)』
  • 『제사직장(諸司職掌)』
  • 『삼재도회(三才圖會)』
  • 袁珂, 『중국신화대사전』, 華夏出版社, 1998.
  • 강제훈, 「조선전기 국왕 의장제도의 정비와 상징」, 『사총』77, 2012.
  • 김지영, 「조선시대 典禮書를 통해 본 御駕行列의 변화」, 『한국학보』31-3,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