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안역(慶安驛)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경기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경안도에 속한 역.

개설

경안역(慶安驛)은 고려 성종대에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광주도(廣州道)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세조 연간에 역제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면서 경안도(慶安道)의 속역으로 편성되었다. 경기도 광주(廣州)에 위치하였으며, 찰방(察訪)이 파견되어 역무를 관할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 조에 따르면, 경안역은 고려시대 광주도에 소속된 15개 속역 가운데 하나였다. 설치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덕풍역(德豊驛)·양화역(楊花驛)·신진역(新津驛) 등과 더불어 경안도에 소속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대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경안역에는 역마 10필과 역노비 43명이 배속되어 있었으며,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에 따르면 상등마(上等馬) 9필, 중등마(中等馬) 31필, 하등마(下等馬) 23필 등 총 63필의 역마와 위전(位田) 74결 57부 7속이 있었다고 한다.

변천

경안역은 고려시대에 이미 설치되어 있었는데, 공민왕이 홍건적을 피해 남쪽으로 피난할 때 이곳을 지나 복주(福州)로 몽진한 사실에서 그 실재를 확인할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조선시대에는 경안도에 편성되었으며, 찰방이 주재하였다. 1457년(세조 3)에는 경기도 양주의 평구역(平丘驛), 광주(廣州)의 덕풍역(德豐驛)·봉안역(奉安驛), 양근의 오빈역(娛賓驛), 지평의 전곡역(田谷驛)·백동역(白冬驛), 천녕의 양화역(楊花驛), 여흥의 신진역(新津驛)·안평역(安平驛), 충청도 충주의 가흥역(可興驛) 등과 더불어 경기좌도수참판관(京畿左道水站判官)의 관할이 되었다. 그런데 1462년(세조 8)의 역제 개편 과정에서는 경안도에 경안역이라는 명칭이 보이지 않고, 광주역에 찰방을 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시기를 전후해 경안역의 명칭이 광주역으로 변경된 것으로 짐작된다. 1470년(성종 1) 이후에는 다시 경안역이 등장하는 것으로 미루어, 광주역을 다시 경안역으로 개칭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여지도서(輿地圖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
  • 조병로, 『韓國近世 驛制史硏究』,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