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양산(紅陽繖)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홍양산 |
한글표제 | 홍양산 |
한자표제 | 紅陽繖 |
상위어 | 가례(嘉禮), 군례(軍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
관련어 | 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
분야 | 왕실/왕실의례/예기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허태구 |
용도 | 의장용(儀仗用) |
재질 | 나무통, 대나무 살, 홍저사(紅紵絲), 다홍무문노주주(多紅無紋潞州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홍양산(紅陽繖) |
조선시대 노부(鹵簿) 행렬에 편성된, 붉은색의 의장용 일산(日傘).
개설
노부는 왕이 외부로 행차할 때 동원되던 의장(儀仗) 행렬을 말한다. 궁궐 안에서 시행될 때는 ‘의장’이라 불렀다. 왕의 노부는 그 규모에 따라 대가(大駕)·법가(法駕)·소가(小駕)로 구분되었다. 왕 이외에 왕비·왕세자·왕세손 등의 의장도 있었다. 노부 행렬에는 통치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각종 깃발·부채·덮개·병기·악기 등 다양하고 화려한 의장 용품이 사용되었다. 홍양산은 그러한 의장 용품 가운데 하나로, 붉은색의 대형 일산을 가리킨다.
연원 및 변천
조선시대 대가·법가·소가 및 중궁(中宮) 노부에 1개씩 동원되었다. 왕의 가마인 어연(御輦) 바로 앞쪽에 은마궤(銀馬机) 등과 함께 진열되었다. 홍양산을 든 군사는 청의(靑衣)에 자건(紫巾)을 착용하였다. 중궁 노부의 경우에는 군사 대신 내시(內侍)가 홍양산을 들었다. 국장(國葬) 의례를 거행할 때의 발인반차(發引班次) 행렬에는 2개가 편성되었다.
형태
나무통을 축으로 하여 원형으로 대나무 살을 붙이고, 그 위에 붉은색 비단 덮개를 씌운다. 덮개 하단에는 붉은색 모시실로 만든 3단 휘장을 붙이고, 용을 그려 넣는다. 유소(流蘇)라 불리는 매듭을 안에서부터 드리운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의궤반차도와 거동기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