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제(鐘制)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궁중음악을 연주할 때 사용된 종의 구조와 제도.

개설

종(鐘)의 체재, 모양, 장식, 부분 호칭 등에 대한 설명 및 제도를 말한다.

연원 및 변천

궁중음악 연주에 사용되는 종은 1116년(고려 예종 11)에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전래될 때 유입되어 고려시대부터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 자체에 대해 치밀하게 분석하여 기록한 것은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에 나타나지 않는다. 종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세종실록』 「오례」·『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악학궤범(樂學軌範)』에 기록되어 있다.

형태

종은 크게 몸체와 자루로 나뉜다. 몸체의 각 부분을 칭하는 대표적인 세부 명칭으로는 선(銑)·우(于)·고(鼓)·정(鉦)·무(舞)가 있다. 이 중에서 소리가 진동하는 부분을 ‘무(舞)’라고 한다. 자루는 용(甬)·형(衡)·선충(旋蟲)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종실록』 「오례」·『국조오례의서례』·『악학궤범』에서는『주례도(周禮圖)』에 기록된 종제(鐘制) 관련 내용을 공통적으로 인용하여 이해를 도우려 하였다. 그에 따르면 부씨(鳧氏)가 종을 만들 때 종체(鐘體)를 다섯으로 구분하였으니 선·우·고·정·무이며, 종의 자루[鐘柄]를 둘로 나누니 그것은 용과 형인데, 형 위에 선이 있고 선의 장식[旋飾]에 충(蟲)이 있으며, 우·고·정·무의 사이에 대(帶)가 끼어 있고 대 사이에 매(枚)가 널려있다고 한다.

또한 선은 쇠[金]의 광택으로 깨끗하게 씻어놓은 것 같아 그렇게 칭하는 것이고, 난(欒)은 나무의 난과 같기 때문인데 그 선이나 난은 모두 종 아귀의 양 모퉁이[角]이며, 우는 선과 선 사이의 굽은 소매 아귀[曲袪] 같은 것이요, 고는 우 위의 퇴(槌)로 치는 곳으로 미(攠)와 수(隨)의 주(注)에 모두 퇴로 치는 곳으로 되었으며, 정은 고와 무의 중간에 있는 것이고, 무는 소리가 진동(震動)하는 곳이며, 용은 무 위에 나온 것이요, 형은 용 위에 가로[橫] 있는 것이며, 대는 전(篆)과 같은 까닭에 전이라 하고, 유(乳)는 여러 개가 있는 까닭에 매라는 명칭을 붙였다고 한다[『세종실록』 오례 길례 서례 악기도설 종의 제도].

300px

300px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주례도(周禮圖)』
  •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 『악학궤범(樂學軌範)』
  • 『대한예전(大韓禮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