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보총국(電報總局)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전보총국 |
한글표제 | 전보총국 |
한자표제 | 電報總局 |
동의어 | 전보국(電報局), 조선전보총국(朝鮮電報總局) |
관련어 | 전우총국(電郵總局), 전신사(電信司), 전보사(電報司) |
분야 | 정치/행정/관청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말기 |
왕대 | 조선말기 |
집필자 | 조재곤 |
폐지 시기 | 1893년(고종 30)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전보총국(電報總局)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고종실록』 24년 3월 13일, 『고종실록』 30년 8월 17일 |
1887년 근대적 전기 통신을 전담하기 위해 설치한 관서.
개설
전보총국은 1887년 당시 청나라가 관장하고 있던 서로전신선을 제외한 모든 전신선을 관할한 우리나라 최초의 전신 사업 중추 기관이었다. 1893년 전우총국(電郵總局)으로 개편되면서 전보총국은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우정국 설치와 더불어 전신 개설의 준비가 진행되던 중 1884년 갑신정변 발발로 자주적 전신선 개설 움직임은 수포로 돌아갔고 모든 계획도 일시 중단되었다. 오히려 청나라의 차관으로 인천-서울 간, 서울-의주 간에 이른바 서로전선을 가설하게 되었다.
서로전선은 1885년 6월 6일에 조인된 「중조전선조약(中朝電線條約)」에 의거하여 청나라전보국에서 10만 냥을 무이자, 5년 거치, 20년 상환의 조건으로 차관하고, 중국에서 파견된 기술진에 의하여 가설된 것이다. 청나라전보총국 관할하의 한성전보총국(漢城電報總局), 지방은 분국(分局)이 전담하고, 총판(總辦)을 비롯한 요직도 그들이 차지하였다.
그러던 중 조선 정부는 고종의 재가를 얻어 1887년 3월 13일 조선전보총국을 개설하고 전 공조 판서홍철주(洪澈周)를 총판에 임명하였다(『고종실록』 24년 3월 13일). 그는 『전보국전무국기(電報局電務局記)』를 찬술하여 전신의 중요성과 전신 개설의 의의를 밝혔다. 동시에 공사를 추진하여 남로전선(南路電線)이 개통되었다. 이어서 북로전선, 청주지선(淸州支線), 동칠릉(東七陵: 현 동구릉)선이 개통되었다. 북로전선은 함흥까지 계획되어 한로선(韓露線)을 형성하여 유럽과 연락될 예정이었으나 일본의 반대로 원산에 머물렀다.
조직 및 역할
전보총국에는 총판과 봉판·주사·위원 및 역원을 두었는데, 중추적 역할은 주사와 위원이 담당하였다. 한글 전신 부호와 요금 등이 명시된 독자적인 「전보장정(電報章程)」도 제정하였다. 전보총국의 위치는 옛 사역원 자리인 세종문화회관 왼쪽 뒤편에 있었다.
변천
1888년 6월 1일 서울-공주-전주-대구-부산 간 남로전선, 1889년 4월 15일 공주-청주 간 청주지선, 1890년 4월 서울-동칠릉 간 동칠릉선, 1891년 6월 25일 서울-춘천-원산 간 북로전선이 개통되었다.
전보총국은 1893년 8월 17일 전우총국으로 개편될 때까지 존속하였다(『고종실록』 30년 8월 17일). 조선 정부는 청일전쟁 이후 전신사(電信司)를 두었고 전신사는 1895년 이후 전보사(電報司)로 개칭되었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전보장정(電報章程)」
- 이광린, 『한국 개화사 연구』, 일조각, 1979.
- 전기 통신사 편찬 위원회, 『한국 전기 통신 100년사(상·하)』, 체신부, 1985.
- 진기홍, 『구한국시대의 우표와 우정(郵政)』, 경문각, 196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