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瓷器)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자토(瓷土)로 만들고 유약을 입힌 그릇.

개설

자기(瓷器)는 자토 즉, 카올린으로 만들고 유약(釉藥)을 입힌 그릇이다. 백자(白瓷)와 청자(靑瓷)로 나뉘며, 점토(粘土) 즉, 진흙으로 만드는 도기(陶器)와 함께 도자기(陶瓷器)로 불린다. 도자기를 만드는 흙은 반죽을 빚어 형태를 만들 수 있는 가소성(可塑性)과, 그릇이 자화(磁化)될 수 있는 높은 온도에 견뎌 도자기로 거듭나는 내화성(耐火性)을 지녀야 한다. 동아시아에서 자기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중국이며, 원시청자 단계를 거쳐 2세기부터는 질 좋은 청자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용 및 특징

자기는 그릇의 표면에 유약을 씌워 굽는데, 자기의 태토(胎土)는 규석·장석·석회석 등이 많이 포함된 점토이다. 자기의 태토와 유약을 이루는 흙은 일반적으로 1,200~1,300도 이상의 온도에서 자화되어 유리질로 변해 밀착된다. 특히 자기 유약은 고온에서 녹아 유리질로 변하므로 자기는 표면에 광택이 감돌며 물을 흡수하지 않는다.

자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원료를 구해서 그릇을 만들기에 적합한 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먼저 원료를 물에 섞은 다음, 그 흙물을 따로 받아서 물을 증발시키고 물에 녹은 고운 입자만을 추출하는 수비(水飛)를 통해 원료를 정제한다. 일반적으로 빠르게 도는 물레 위에서 자기의 형태를 만드는데, 틀에 점토를 넣어 찍어내는 방식으로도 만든다. 형태가 갖추어진 자기는 건조 후에 가마에 넣어 초벌로 굽는다. 초벌구이는 유약이 태토에 잘 흡수되도록 한다. 초벌구이된 그릇에 유약을 씌워 자화가 이루어질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다시 구워내면 자기가 완성된다. 자기에 따라서 조각칼로 문양을 새기거나 산화철이나 산화코발트와 같은 안료로 문양을 그려 넣기도 한다. 자기는 일반적으로 등요(登窯) 즉, 오름가마에서 굽는다. 등요는 구릉의 사면에 터널 형태로 마련되어 높은 온도로 많은 양의 자기를 제작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자기는 주로 자기(磁器)라는 한자로 문헌에 기록되며 자기(甆器)로도 등장한다(『태종실록』 13년 7월 16일), [『세종실록』 오례 흉례 서례 명기], (『세조실록』 14년 8월 28일), (『중종실록』 25년 10월 5일). 자기(瓷器)라는 한자는 1914년(순종 7)에 전국에 남아 있는 고요지(古窯址)를 조사하라는 명령에 도자기라는 용어로 등장한다(『순종실록부록』 7년 9월 15일).

조선초기의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자기는 분청자와 백자를 포괄하는 것으로 보이며, 1467년(세조 13)에 사옹원(司饔院)의 관요(官窯)가 성립한 이후에는 왕실과 관청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백자를 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변천

좋은 품질의 자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양질의 원료가 있어야 하고, 높은 온도의 불을 다룰 수 있는 가마 운영 기술이 있어야 하며, 자기를 굽기 위한 다량의 땔감과 장인이 필요하다.

조선초기에는 전국의 자기소에서 분청자가 계속 만들어지는 가운데 백자의 제작과 수요가 점차 증가했다. 1467년 이후에 사옹원의 관요가 성립하면서 왕실과 한양의 관청에서는 백자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조선의 자기문화(瓷器文化) 역시 백자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 김영원, 『조선시대 도자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방병선, 『중국도자사 연구』, 경인문화사, 2012.
  • 윤용이, 『韓國陶瓷史硏究』, 문예출판사, 199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