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자탕(六君子湯)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반하, 백출, 진피 등으로 이루어져, 기가 허하여 담이 성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

개설

반하(半夏)·백출(白朮) 각 1.5돈, 진피(陳皮)·백복령(白茯苓)·인삼(人蔘) 각 1돈, 감초(甘草) 구운 것으로 5푼을 생강 3편, 대추 2개와 달여 먹는다.6가지 약재를 각각 1돈씩 같은 양으로 해서 쓰는 경우도 있다.

『부인양방』에도 육군자탕이 나온다. 비허(脾虛)에 담(痰)을 겸하고, 숨이 짧고 기침을 하며 담색이 희고 묽으며 구토를 하고 식욕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인삼·백출·복령 각 2돈[錢], 구운 감초·진피·반하 각 1돈에 생강, 대조를 넣고 달여 복용한다.

『세의득효방』에는 장부(臟腑)가 허겁(虛怯)하며 심복(心腹)이 팽만(膨滿)하고 더러운 것을 토하고 먹지 않으며 장명설사(腸鳴泄瀉)하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나온다. 같은 양의 인삼·감초·복령·백출·싸서 구운 육두구(肉豆蔲)·싸서 구운 가자육(訶子肉)을 거칠게 썰어 매회 3돈을 끓인 소금물로 조제하여 복용하거나, 생강 3편과 대조 2개를 넣고 달여 복용한다.

『신방신편』의 육군자탕은 담(痰)이 중초(中焦)에 응(凝)하여 때로 담을 토하고[吐痰], 토하며 음식을 삼키지 못하는[嘔噎] 증상 및 배가 땅기며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제시된다. 인삼 2돈, 백출·귤피(橘皮)·백복령·반하·부자(附子)·계지(桂枝)·천남성(天南星) 각 1돈, 목향(木香)·황련(黃連)·감초 각 5푼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신방신편』에는 그 외에도 몇 가지 육군자탕이 더 나온다. 「해수문(咳嗽門)」의 육군자탕은 해수(咳嗽)하고 담궐(痰厥)하며 흉울(胸鬱), 기허(氣虛)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귤피(橘皮)·나복자(蘿葍子) 각 2돈, 인삼(人蔘)·부자(附子)·관계(官桂)·건강(乾薑)·백복령(白茯苓)·백개자(白芥子)·백출(白朮) 각 1돈, 감초(甘草) 5푼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대변문(大便門)」, 「구토문(嘔吐門)」, 「내상문(內傷門)」에 나오는 육군자탕은 비위허랭(脾胃虛冷)으로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食不化] 설사, 복통(腹痛)하며 애기(噫氣)에서 신 냄새가 나며 때로 구토(嘔吐)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진피 각 2돈, 산사육(山査肉)·부자·백출·관계 각 1.5돈, 건강(乾薑)·후박(厚朴)·사인(砂仁) 각 1돈, 감초 5푼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현종의 증상에 육군자탕을 쓰겠다는 기록이 있다(『현종실록』 10년 9월 1일). 그 외에도 여러 번 임금에게 육군자탕을 드린 기록이 나온다(『경종실록』 4년 8월 19일) (『영조실록』 32년 9월 21일) (『순조실록』 14년 윤2월 8일). 특히 『현종실록』과 『일성록』에는 현 시세에 대해 주자가 비유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데, 공격적인 대승기탕과 보하는 육군자탕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제조법

반하(半夏)·백출(白朮) 각 1돈 반, 진피(陳皮)·백복령(白茯苓)·인삼(人蔘) 각 1돈, 감초(甘草) 구운 것으로 5푼을 생강 3편, 대추 2개와 달인다.

효능

기가 허하여 담이 성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한다.

참고문헌

  • 『동의보감(東醫寶鑑)』
  • 『방약합편(方藥合編)』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東洋醫學大辭典編纂委員會 編, 『東洋醫學大辭典』, 慶熙大學校出版局, 1999.
  • 万友生 外, 『中医方劑大辭典』, 永信文化社.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