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우소(乳牛所)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왕실에 우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아.

개설

유우소(乳牛所)는 1404년(태종 4) 왕실에 우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공상(供上) 전담 아문이다. 우유(牛乳)는 소의 젓으로 유락(乳酪), 타락(駝酪)이라고도 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시대에는 유우소를 국가 상설기관으로 설치하여 우유와 낙소(酪酥)를 만들어 왕실에서 약으로 쓰고, 신하들에게 하사하기도 하였다. 조선에서는 1404년에 설치하였으나 1421년(세종 3)에 폐지하였다.

조직 및 역할

유우소의 조직은 확실하지 않다. 다만, 모든 인원 200명을 매년 전직 승직시켜 5품에 이르면 별좌(別坐)가 되도록 하였다. 유우소를 폐지한 뒤에는 소속 인원이 있는 주·군의 군(軍)에 보충시켰다(『세종실록』 3년 2월 9일).

변천

1415년(태종 15)에 거우(車牛)의 반을 감하였고(『태종실록』 15년 8월 23일) 다음해에는 유우소에 다시 낙(駱)을 바치라고 하였다.

1421년(세종 3)에 유우소를 폐지하면서 소속 유우(乳牛) 중 상왕전(上王殿)에 지공(支供)하는 유우는 인수부(人壽府)에 소속시키고, 주상전(主上殿)에 지공하는 유우는 예빈시(禮賓寺)에 소속시켰다(『세종실록』 3년 2월 9일). 1438년(세종 20)에는 타락색(酡酪色)이라 부르고, 유우소를 동부학당(東部學堂)으로 만들고, 동부학당을 북평관(北平館)으로 만들었다. 소를 기르는 목장을 동대문 북쪽에서 동소문에 걸치는 동산 일대로 옮겨 이곳을 타락산(駝酪山) 또는 낙산(酪山)이라 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송수환, 『조선전기 왕실재정연구』, 집문당, 200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