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범문(崇範門)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창덕궁 인정전의 서쪽 행각에 있는 문.

개설

숭범문(崇範門)은 광범문과 함께 인정전과 조정 마당을 두르는 행각에 있는 문이다. 조선초기에는 그저 인정전의 우협문으로 불렸는데, 1475년(성종 6)에 이 문의 이름을 숭범문으로 하였다. 광범문과 마찬가지로 인정전의 부속 시설이기 때문에 정전과 정전 마당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성종실록』 6년 8월 23일).

위치 및 용도

숭범문은 창덕궁의 인정전 마당을 두른 서행각에 나 있는 문이다. 인정문에서 인정전을 바라보고 오른쪽인 동쪽 행각에 광범문, 반대편 서쪽 행각에 숭범문이 있었다. 광범문은 승정원과 통하고 숭범문은 내의원과 통했다. 인정전 마당을 통과해 대내외로 출입할 때 중요한 동선이었고, 정전의 부속 공간인 만큼 장소를 어지럽히거나 소란스럽게 하는 행위를 금하는 금란이 엄격했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여자들의 인정전 안뜰 출입도 금란의 행위에 속하였기 때문에 광범문을 지키는 군사를 철저히 감독하였고, 문을 지키는 인원을 증원하여 이러한 행위를 막았다(『광해군일기(중초본)』 13년 4월 25일).

변천 및 현황

광범문은 태종 당시 창덕궁을 건설하던 때에 이미 이루어졌다. 성종 연간까지 궁궐 내에 이름을 달지 않은 문이 많아 혼란을 초래하였으므로 1475년(성종 6)에 왕이 서거정에게 명하여 궁궐 내의 이름 없는 문들에 액호를 지어 문 위에 현판을 걸었다. 임진왜란과 순조대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광해군과 순조대에 각각 복구하였고, 다시 일제강점기에 본래 모습을 잃고 변형된 것을 1991년에 창덕궁 복원 사업을 시작하여 현재에 이른다.

현재 인정전의 행각은 2칸 규모, 즉 세 줄의 열주가 마당을 두르고 늘어섰다. 본래는 행각에 방을 갖추어 숭범문의 남쪽에 내삼청이 있었으나, 지금은 바깥 기둥에만 벽체를 둔 월랑 형태의 비어있는 열주랑으로 구성되었고, 그 행각에 숭범문이 있다.

형태

숭범문은 광범문과 마주 보며 서행각에 나 있는 문으로 평대문의 형태이다. 주칠을 한 2짝 판장문을 설치하였고, 문의 위쪽에는 안상의 문양대로 구멍을 뚫은 풍혈이 있는 8개의 궁창을 놓았고, 그 위에 홍살을 더 얹어 문을 구성하였다.

관련사건 및 일화

정조대에 광범문은 승정원과 통하고 숭범문은 내의원과 통하였기 때문인지, 왕이 광범문의 열쇠는 예문관에서 관장하고, 숭범문의 열쇠는 약방의 장무관이 관장하게 하라는 명을 내렸다. 그런데 며칠 뒤에 병조 판서 이연상이 왕 앞에 나아와 약방 제조가 말하기를 숭범문의 자물쇠를 약방의 장무관이 관장하게 하는 것은 사체에 어긋나는 일이라며 문과 가까운 무겸청(武兼廳)에서 관장하도록 하는 것이 좋지 않겠냐며 의중을 전하였다. 이에 왕이 노하여 약방의 장무관이 힘든 일을 모면하려고 한다며 엄히 다스리도록 한 일이 있었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궁궐지(宮闕志)』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