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맥(水脈)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수맥 |
한글표제 | 수맥 |
한자표제 | 水脈 |
관련어 | 수맥파(水脈波) |
분야 | 생활·풍속/풍수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김두규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수맥(水脈)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23년 8월 25일 |
혈처(穴處) 앞에 흐르는 명당수(明堂水)와 객수(客水)의 흐름을 말함.
개설
땅속의 맥을 통해서 흐르는 생기(生氣), 즉 지기(地氣)는 물을 만나면 멈추고 응결된다. 그것이 다름 아닌 혈이다. 따라서 풍수에서 물을 매우 중시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혈 앞 명당에 흐르는 물의 흐름은 그곳에 형성될 혈의 진위 여부, 크기와 역량을 파악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내용 및 특징
풍수에서 수맥은 크게 3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첫째, 혈 앞에 흐르는 명당수와 그 바깥에서 다시 흐르는 객수를 말한다. 둘째, 왕릉의 경우 광중(壙中)에 혹시나 물이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이 빠져나가게 하는 통로, 즉 수맥을 만드는데 이 경우의 수맥이다. 셋째, 1980년 이후 우리나라에 유행된 지하 수맥과 풍수와의 습합에서 언급되는 수맥이다. 이 가운데 풍수에서 언급되는 것은 첫 번째 경우이다.
조선조 지관 선발 고시과목 가운데 가장 중요한 『장서(葬書)』에서는 풍수의 법이 물을 얻는 것을 으뜸으로 하고 바람을 갈무리하는 것을 그다음으로 하라고 할 만큼 물을 얻는 것을 중시한다. 수맥을 중시하는 것은 물이 혈처를 감싸 돌아야 하지 그 반대로 감싸 돌지 않고 등을 돌리고 빠져나가면 좋은 터가 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서』에서는 물의 중요성만 강조하였을 뿐 물의 흐름, 즉 수맥에 대한 자세한 언술이 없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이상적인 풍수 요건으로 수맥이 굴곡(屈曲)해야 한다거나, 물이 깊고 맑으며 휘돌아 굽이쳐 흘러야 한다는 것을 언급하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이다(『세종실록』 23년 8월 25일).
풍수에서 산보다 물을 중시하는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풍수에서 물은 사람의 피와 같아 움직임이 빠르기 때문에 길흉화복이 빠르게 나타난다고 본다. 둘째, 수맥의 양과 흐름의 모양에 따라 그 길흉화복의 정도와 종류가 달라진다고 본다. 따라서 상지관은 혈처 앞에 형성된 수맥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관찰을 중시하지 않을 수 없었다. 『명산론(明山論)』은 수맥의 종류를 진룡수(眞龍水), 승룡수(乘龍水), 수룡수(水龍水), 조룡수(鳥龍水), 요룡수(腰龍水), 호룡수(護龍水), 현무수(玄武水) 등 일곱 가지로 나누어 그 수맥의 모양과 길흉화복을 소개하고 있다.
변천
조선초기에 풍수에서 수맥을 언급할 때는 문자 그대로 물의 흐르는 맥을 지칭하였다. 그 이상적인 조건은 물이 완만하게 흐르되 굽이져 흘러야 하고 혈처를 감싸 안은 것이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풍수서적의 유실과 중국에서 들어온 좌향을 중시하는 새로운 풍수 이론의 유입으로 수맥론은 매우 복잡다단하고 술수화되고 만다.
참고문헌
- 채성우 저·김두규 역해, 『명산론』, 비봉출판사, 2002.
- 최창조 역주, 『청오경·금낭경』, 민음사, 1993.
- 호순신 저·김두규 역해, 『지리신법』, 비봉출판사, 200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