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곶역(평안도 어천도)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소곶역 |
한글표제 | 소곶역 |
한자표제 | 所串驛 |
상위어 | 어천도(魚川道) |
관련어 | 관로찰방(館路察訪), 속역(屬驛), 소곶관(所串館), 개천군(价川郡), 역노(驛奴), 역비(驛婢), 마호관군(馬戶館軍), 차역관군(差役館軍), 입마역(立馬役), 여군(餘軍), 신공전(身貢錢), 마호고공(馬戶雇工), 수포고공(收布雇工)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朝鮮) |
집필자 | 이승민 |
폐지 시기 | 1896년(건양 1) 1월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소곶역(所串驛)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조실록』 8년 8월 5일 |
조선시대 평안도의 도로망인 어천도에 속한 역으로, 평안도 의주목 정녕현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소곶역(所串驛)은 조선전기 세종대에는 평안도관로찰방(平安道館路察訪)에 속한 역이었다. 그 뒤 세조 연간에 전국의 역제(驛制)가 41역도(驛道)-543속역(屬驛) 체제로 개편되면서 어천도(魚川道)를 구성하는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이후 조선후기까지 존속하였으나 1896년(건양 1) 1월에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세종실록』「지리지」평안도 의주목 정녕현 편에는, 이 지역의 유일한 역관으로 소곶관(所串館)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였다. 세종대에 전국적으로 역도-역로 조직을 갖추는 과정에서 명나라와 국경을 마주한 평안도에는 관로찰방을 설치했는데, 소곶역은 생양역(生陽驛)·대동역(大同驛)·안정역(安定驛) 등과 함께 여기에 소속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소곶역에는 중등마 7필과 역노(驛奴) 35명, 역비(驛婢) 11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또한 1895년(고종 32)에 간행된 『관서역지(關西驛誌)』에 따르면 소곶역에는 마호관군(馬戶館軍) 48명, 차역관군(差役館軍) 13명이 편성되어 주로 입마역(立馬役)을 부담하였으며, 여군(餘軍) 1명이 편성되어 신공전(身貢錢)을 납공하였다. 그밖에 마호고공(馬戶雇工) 86명, 수포고공(收布雇工) 91명 등 총 177명의 고공이 편성되어 입마역과 역(驛)에 필요한 각종 업무에 동원되었다.
변천
조선전기 세종 연간에 전국적인 역로 조직이 마련되었으나, 세조대에는 찰방이 관할하는 역이 많고 또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까닭에 두루 순시하기가 어려워 역로가 쇠퇴하는 등의 폐단이 나타났다. 그리하여 1462년(세조 8)에 병조의 건의에 따라 각 도의 역참(驛站)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해 찰방과 역승(驛丞)을 두게 하였는데, 이때 황해도의 칠참찰방(七站察訪)과 함길도, 그리고 소곶역이 소속된 평안도 지역의 관로찰방은 변화 없이 예전 그대로 유지되었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그 뒤 소곶역은 조선후기까지 어천도에 속한 역으로 존속했으나, 1896년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여지도서』와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소곶역이 개천군 서쪽 30리 지점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 『여지도서(輿地圖書)』
- 『관서역지(關西驛誌)』
- 『대동지지(大東地志)』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