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小鼓)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소고 |
한글표제 | 소고 |
한자표제 | 小鼓 |
관련어 | 대고(大鼓), 악학궤범(樂學軌範),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 |
분야 | 문화/예술/음악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전기 |
왕대 | 조선전기 |
집필자 | 이정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소고(小鼓)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연산군일기』 11년 1월 4일 |
타악기의 하나.
개설
궁중에서 사용되었던 작은 북이다. 연회나 종묘제례에서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를 출 때 그 주변에 늘어놓는 의물로 사용되었다.
연원 및 변천
소고(小鼓)가 언제부터 쓰였는지는 상세히 모르지만 궁중의 행차, 연회, 제례 등에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중 소고라는 악기명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정대업지무」와 관련되어 있다. 종묘제례의 「정대업지무」에 의물로 세조대부터 임진왜란 발발 이전까지 지속적으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후기에는 「정대업지무」에 의물을 진설하지 않으면서 제외되었다. 한편 연산군대에 연회에서 쓸 소고 6개를 만들기도 하였다(『연산군일기』 11년 1월 4일).
형태
성종대에 제작된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소고의 그림, 규격, 재료, 만드는 법이 상세히 소개되어 있다. 북면이 옆을 향하며 몸통 윗부분에 끈이 있는 모습이다. 소고의 북면 재료로는 소가죽을 썼다. 나무로 만든 북통은 옻칠한 베[漆布]로 싸서 붉은색으로 칠하고 모란을 그렸다. 몸통 윗부분에 도금한 못[頭釘]과 고리[圓環]를 박은 후 홍색 명주실[紅眞絲] 끈[纓子]을 달았다. 제례에 사용하는 소고에는 못과 고리에 도금을 하지 않았다. 소고의 규격은 가죽 지름 5치 5푼, 통 길이 4치였다.
- 00016717_그림1_『악학궤범』의 소고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 『악학궤범(樂學軌範)』
- 『종묘의궤(宗廟儀軌)』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