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무(西廡)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성균관과 8도 계수관 향교의 대성전 서쪽에 있는 여러 유현(儒賢)의 위패가 안치된 행각(行閣).

개설

서무는 성균관이나 향교의 문묘(文廟) 안에 정전인 대성전에 배향되지 못한 유현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대성전 앞 서쪽에 세운 건물이다. 동쪽에 세운 건물은 동무(東廡)라고 한다. 여러 도의 계수관(界首官)향교에는 동무와 서무가 있었으나, 그 나머지 주(州)·부(府)·군(郡)·현(縣)의 향교에는 모두 무(廡)가 없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와 조선시대 문묘에서 정전인 대성전에 모시는 공자와 사성(四聖), 십철(十哲), 송조(宋朝)의 육현(六賢) 외의 선현(先賢)들을 제사지내기 위해 대성전 좌우에 동무와 서무를 건립하고 위패를 봉안했다. 서무에는 역대 중국 성현을 앞쪽에 모시고, 최치원(崔致遠)·정몽주(鄭夢周)·정여창(鄭汝昌)·이언적(李彦迪)·김인후(金麟厚)·성혼(成渾)·조헌(趙憲)·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 등 9위를 뒤쪽에 모셨다.

조직 및 역할

국초에는 서무에 공자의 여러 제자 및 중국과 우리나라 역대 유현의 위패 55위를 모셨으며(『세종실록』16년 7월 18일), 나중에 54위로 조정했다. 초하루와 보름의 분향 때 서무에도 수복(守僕) 한 사람이 배치된다. 석전(釋奠) 제사 때는 촛불을 밝히고, 어린아이 주먹만 한 생육(生肉) 한 덩어리와 포(脯) 세 가닥 그리고 잔과 받침 한 개의 간단한 제수(祭需)를 올린다.

변천

1451년(문종 1) 서무에 비가 새고, 난간과 담장도 무너져 내리자 동서요아(東西窯牙)에게 기와를 구워서 고쳐 덮게 하였다[『문종실록』 1년 7월 28일]. 1461년(세조 7) 상정소(詳定所)의 건의로 문묘의 각 위(位)에 올리는 전물(奠物)을 모두 탁자를 써서 진설하게 하고 바닥에 자리를 펴는 것은 없애도록 할 때[『세조실록』 7년 2월 3일] 동무와 함께 서무도 이에 따라 진설되었다.

1610년(광해군 2) 9월 4일에는 증(贈) 의정부 우의정문경공(文敬公)김굉필(金宏弼), 증 의정부 우의정문헌공(文獻公)정여창, 증 의정부 영의정문정공(文正公)조광조(趙光祖), 증 의정부 영의정문원공(文元公)이언적, 증 의정부 영의정문순공(文純公)이황(李滉) 등 다섯 현신을 문묘의 동무와 서무에 추가로 배향하였다. 1756년(영조 32) 2월 15일에는 다시 문정공(文正公) 송시열과 문정공(文正公) 송준길(宋浚吉)을 문묘의 동무와 서무에 배향하였다.

참고문헌

  • 『반중잡영(泮中雜詠)』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