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하성(北河星)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통 별자리인 28수(宿) 가운데 정수(井宿)에 속한 별자리.

개설

북하성(北河星)은 28수 가운데 정수에 속하며 3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북하성은동정성(東井星)의 동북쪽에 있으며, 동정성의 동남쪽에 있는 남하(南河) 성좌와 함께 하늘의 관문을 형성한다. 북하성은 북수(北戍)라고도 하는데, 북방의 관문으로 북방 오랑캐를 막는 임무를 맡고 있다. 북하성은 은하수의 동쪽에 위치하며, 서양 별자리인 쌍둥이자리의 머리에 해당한다.

내용 및 특징

북하성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기록되고 있다. 북수, 북궁(北宮), 북기(北紀), 음문(陰門), 북관(北關), 호문(胡門) 등이 있고 또 형성(衡星)이라고도 불렀다. 이와 같은 이름은 북하성과 남하성 사이를 해·달·오행성이 지나는 길 곧 ‘삼광지도(三光之道)’로 생각하였고, 북하성은 이 길의 북쪽에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고천문에서는 하늘을 31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서 별자리를 배속시켜 분류하였는데, 그 분류는 시대별로 달랐다. 『보천가(步天歌)』 이후 삼원(三垣)과 28수의 별자리 분류 체제가 확립되면서 북하성은 28수 가운데 남방 7수의 정수(井宿)에 속하였다. 그 이전인 『사기(史記)』「천관서(天官書)」에는 남궁(南宮)에 속하는 것으로, 『삼가성경(三家星經)』에는 석씨중관(石氏中官)에 속하는 것으로, 그리고 『진서(晉書)』「천문지(天文志)」에는 중궁(中宮)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천문분야론에 따르면, 북하 성좌는 하늘을 열두 구역으로 나눈 십이성차(十二星次) 가운데의 순수(鶉首)의 차에 속하는데, 서양 황도십이궁의 게자리[巨蟹宮]와 상응한다. 해가 하늘에서 순수의 차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십이진의 미(未)의 방향에 해당하는데, 시절은 음력 5월이 된다. 하늘의 분야에 대응하는 땅의 분야는 십이주국(十二州國)의 진(秦)나라와 옹주(雍州)이다.

하늘에서 북하성과 남하성은 동정성 곧 정수(井宿)를 중심으로 하여 남북으로 대치하고 있는 모양이다. 은하수의 동쪽에 자리 잡은 북하성은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에서 동정성의 동북쪽, 오제후(五諸侯) 성좌의 북쪽, 귀수(鬼宿)의 서북쪽에 있는데, 서양 별자리의 쌍둥이자리 머리 부분에 해당한다. 쌍둥이자리의 세 별 곧 알파별, 베타별 및 로별이 북하성을 구성하는 별이 된다.

황하강의 북쪽에서 강이 두 갈래로 흐르는 부분을 남하·북하라 불렀는데, 이것을 본떠 하늘에 올려 별자리로 삼은 것이 바로 남하성·북하성이다. 북하성은 남하성과 함께 하늘에서 해와 달, 오행성의 길 곧 황도(黃道)를 지키는 관문으로, 은하수의 관문을 연결하는 다리를 담당하였다. 하천으로써의 북하성은 물을 관리하는 임무를 가졌지만, 북쪽을 지키는 북수로써의 북하는 북쪽 오랑캐의 침입을 막는 북쪽의 관문이 되기도 하였다.

북하성과 관련된 천문 현상은 하천의 교량 또는 북쪽의 관문이라는 뜻에 비추어 해석하였다. 북하성이 다 갖추어지지 않으면 북쪽 길이 통하지 않고 물이 넘쳐 홍수가 일어난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 『천문류초(天文類抄)』
  • 『사기(史記)』「천관서(天官書)」
  • 『통지(通志)』「천문략(天文略)」
  • 『진서(晉書)』「천문지(天文志)」
  • 『송사(宋史)』「천문지(天文志)」
  • 『삼가성경(三家星經)』
  • 『보천가(步天歌)』
  • 『관상완점(觀象玩占)』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