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준(白瓷尊)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백자기로 제작된 항아리.

개설

조선시대 백자 가운데 가장 다양하게 생산된 기종 중 하나가 준(尊)이다. 준은 항아리를 의미하며 백자뿐만 아니라 분청자기와 청화백자, 도기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되었다. 백자준은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하여 볼 때 성균관에 종종 하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균관은 이미 태종 연간부터 국가적 관심과 지원이 매우 높아 왕실로부터 각종 하사품이 전달되었다. 이후 성종 연간인 조선중기에 이르러 조선 건국 당시 재야에 묻혀있던 온건파(穩健派)들이 새로운 정치 세력으로 등장하고 주도권을 잡으면서 더욱 성균관에 대한 배려가 깊어졌다. 사림(士林) 세력의 본격적인 등장으로 인해 성균관에 대한 왕실의 하사품은 각종 물품과 음식, 술 등으로 보다 다양해졌고 도자기도 상당수 포함되었다.

연원 및 변천

백자준(白瓷尊)은 조선전기부터 제작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술을 담기 위해 사용되는 그릇이기 때문에 생산량이 적지 않았으며, 백자 이외에 분청사기, 도기 등으로도 다양하게 제작되었다.

1447년(세종 29) 성균관에 청화사대종(靑畫沙大鍾) 2벌과 백사대종(白沙大鍾) 2벌, 백사대준(白沙大尊) 4벌, 술 1백 50병 및 생선과 고기를 하사한 일이 있었는데(『세종실록』 29년 9월 1일), 백자준은 이때 하사한 백자대준과 형태가 흡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균관은 조선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인재를 교육하는 최고의 기관이었던 관계로, 태종 연간부터 성균관 소속 관직자들과 유생들에 대해 각별한 호의를 베풀었다. 성종대에도 백자준 2개를 성균관에 하사한 일이 있었다(『성종실록』 2년 8월 21일). 이후에도 계속해서 성균관에 그릇들을 하사한 기록이 남아있어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관심과 배려를 아끼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왕이 성균관에 내린 하사품은 각종 음식과 물품들이었다. 왕실에서 직접 소유하고 있던 것을 하사한 것이다. 백자준은 성균관 관리와 유생들에게 필요한 물품 가운데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백자준은 일반적으로 술이나 물을 저장하기 위해 제작된 항아리이다. 현재까지 백자준은 『조선왕조실록』에 전거한 유물이 전해지지 않아 유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다.

참고문헌

  • 강경숙, 『한국 도자사의 연구』, 시공사, 2000.
  • 김영원, 『朝鮮前期 陶磁의 硏究―分院의 設置를 中心으로』, 학연문화사, 1995.
  • 김영원, 『조선시대 도자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방병선, 『왕조실록을 통해 본 조선도자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