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절(旄節)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모절 |
한글표제 | 모절 |
한자표제 | 旄節 |
상위어 | 가례(嘉禮), 군례(軍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
관련어 | 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
분야 | 왕실/왕실의례/예기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허태구 |
용도 | 의장용(儀仗用) |
재질 | 백마렵(白馬鬣), 추목(楸木), 병가시목(柄加時木)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모절(旄節)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30년 3월 24일, 『정조실록』 7년 3월 27일 |
조선시대 노부(鹵簿) 행렬에 편성된, 7개의 털 뭉치가 연결된 의장용 깃발.
개설
‘노부’는 왕이 궁궐 밖으로 행차할 때 동원되던 의장(儀仗) 행렬을 말한다. 궁궐 안에서 시행될 때는 ‘의장’이라 불렀다. 왕의 노부는 그 규모에 따라 대가(大駕)·법가(法駕)·소가(小駕)로 구분되었으며, 왕 이외에 왕비, 왕세자, 왕세손 등의 의장도 있었다. 노부 행렬에는 통치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각종 깃발·부채·덮개·병기·악기 등 다양하고 화려한 의물(儀物)이 사용되었다. 모절은 그러한 의물 가운데 하나로, 붉은색의 털 뭉치 7개를 연결해 만든 깃발을 가리킨다.
연원 및 변천
절(節)과 월(鉞)은 중국 송나라 때, 황제가 임지로 떠나는 절도사(節度使)에게 절과 긴 자루가 달린 도끼 모양의 부월(斧鉞)을 하사한 데서 비롯되었다. 절은 지휘의 권한을, 부월은 생사여탈(生死與奪)의 권한을 상징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신임 관찰사(觀察使)나 유수(留守), 병사(兵使) 등의 지방관이 부임할 때 왕이 손에 쥐는 작은 수기(手旗) 모양의 절을 부월과 함께 내려 주었다. 그뿐 아니라 절과 부월은 국가 행사의 의장에도 포함되어 왕의 통치권과 위엄을 상징하였다.
모절은 조선시대 대가노부에는 4개, 법가노부에는 2개, 소가노부에는 1개가 사용되었다. 다른 의장과 더불어 왕의 가마인 어연(御輦) 앞에 진열되었는데, 대가노부의 경우 4개의 모절이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었다. 모절을 드는 군사는 홍의(紅衣)에 피모자(皮帽子)를 착용하였다. 그에 비해 중궁(中宮) 즉 왕비의 노부에는 4개가 편성되었으며, 이때 모절을 드는 군사는 청의(靑衣)에 피모자를 착용하였다.
세종대에 경창부윤(慶昌府尹)정척(鄭陟)이 새로 제정한 왕세자의 대가의장에는 모절이 2개 포함되어 있다(『세종실록』 30년 3월 24일). 또 성종 연간에 편찬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왕세자 의장에도 모절 2개가 편성되었다. 한편 1783년(정조 7)에 정조의 생모 혜경궁(惠慶宮)의 의장을 정할 때는 모절 4개를 편성하였다(『정조실록』 7년 3월 27일).
형태
붉은색으로 물들인 상모(象毛) 뭉치 7개를 용머리 모양의 장대에 매달아 만든다. 상모는 각종 병기나 군복, 깃발에 다는 털 장식을 말한다. 각 상모 뭉치의 상단에는 금으로 도금한 구리 덮개를 씌우고 연꽃을 새긴다. 각 상모 뭉치를 가죽으로 꿴 다음, 붉은색으로 칠한 장대의 용구(龍口) 고리에 매달아 연결한다.
1759년(영조 35)에 편찬된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의 「품목질(稟目秩)」에는 당시에 모절 4개를 만드는 데 사용된 재료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백마(白馬)의 갈기 10근, 천초(茜草) 10근, 조개껍질 재 1말 2되, 백반 4냥, 초(醋) 4복자(卜子), 소가죽 1령, 자루용 가시나무 4개, 백구피(白狗皮) 2령, 추목(楸木) 반 조, 주철 10근, 반주홍(磻朱紅) 2냥, 아교 2냥, 가는 철사 40자, 당주홍(唐朱紅) 2돈, 하엽 2돈, 삼록 4돈, 황단 2돈, 청화 4돈, 석자황 1돈, 정철 4근, 두석 10냥, 삼보(三甫) 5속(束), 홍면사 1냥, 정분(丁粉) 4돈, 부레 2냥, 쇠심줄 2냥, 명유(明油) 3홉, 생모시 1근, 청마사(靑麻絲) 2돈, 주토(朱土) 1말, 땔나무 4단, 과표자 2개, 꿩 깃털로 만든 비[雉尾箒] 1자루, 홑집용 청색 무명 1필 10자, 비를 막는 두꺼운 기름종이 8장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의궤반차도와 거동기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