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종 태실지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명종 태실(明宗 胎室) | |
식별자 | PC011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명종 태실 |
한자명 | 明宗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Myeongjong |
피안자 명칭 | 명종(明宗) |
피안자 이칭 | 춘령(椿齡)·이환(李峘)·자(字) 대양(對陽)·경원대군(慶原大君)·강릉(康陵) |
피안자 부 | 중종(中宗) |
피안자 모 |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尹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534.05.22 |
피안자 몰년월일 | 1567.06.28 |
안태 연월일 | 1538.02.21 |
안태지 기록1 | 서산(瑞山) 태봉(胎峯) 『선조실록』 |
안태지 좌표(위도) | 36°77'92.00"N |
안태지 좌표(경도) | 126°57'87.03"E |
안태지 주소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산1 |
문화재 지정여부 | 보물 제1976호 |
이안 연월일 | 1929.05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皇明嘉靖十三年,五月二十二日,寅時生,王男大君椿齡阿只氏胎,嘉靖十七年,二月二十日,卯時藏 |
지문 찬자 | 조선 예조(禮曹)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태실 원형 복원 완료 |
태항아리 | 명종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 1 내용
- 2 관련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
- 2.1.1 『명종실록』2권, 명종 1년(1545) 11월 20일 기묘(己卯) 1번째 기사
- 2.1.2 『선조실록』7권, 선조 6년(1573) 2월 17일 무진(戊辰) 2번째 기사
- 2.1.3 『선조실록』7권, 선조 6년(1573) 2월 21일 임신(壬申) 1번째 기사
- 2.1.4 『선조수정실록』9권, 선조 8년(1575) 11월 1일 을미(乙未) 1번째 기사
- 2.1.5 『선조실록』9권, 선조 8년(1575) 11월 28일 임술(壬戌) 2번째 기사
- 2.1.6 『숙종실록』50권, 숙종 37년(1711) 10월 22일 정축(丁丑) 2번째 기사
- 2.2 연려실기술
- 2.3 호산록
- 2.1 조선왕조실록
- 3 지식 관계망
- 4 시각자료
- 5 전자지도
- 6 참고 자료
- 7 주석
내용
조선 제13대 국왕 명종의 태실이다.
한 태실에 비석이 세 기(基)인 것이 특징이다. 안태비는 명종이 태어난 직후 세워진 것이며, 명종 즉위 후 세운 가봉비가 풍화로 인해 부식되자 1711년(숙종 37) 새로이 비석을 마련한 것이다.
숙종 때 비석을 마련하는 과정은 《승정원일기》에 자세하다. 이 때 비석만 새로 새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석물도 수개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 선조 태실과 현종 태실도 함께 개수(改修)하였는데 예조 당상과 낭청 각 1인과 감역관을 파견해 일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비석의 글씨는 승문원 관원을 차출하여 보냈다. 이 때 감역으로 참여했던 오수현(吳遂顯)은 태실 수개가 끝난 뒤 그 공로를 인정받아 승륙(陞六)이 이루어졌다.
명종 태실은 지난 2018년 보물 제1976호로 지정되었다.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명종실록』2권, 명종 1년(1545) 11월 20일 기묘(己卯) 1번째 기사
『선조실록』7권, 선조 6년(1573) 2월 17일 무진(戊辰) 2번째 기사
『선조실록』7권, 선조 6년(1573) 2월 21일 임신(壬申) 1번째 기사
『선조수정실록』9권, 선조 8년(1575) 11월 1일 을미(乙未) 1번째 기사
《도적이 명종의 태봉을 허물다》
도적이 명종의 태봉(胎封)을 허물었다. 이 태봉은 서산(瑞山)에 있는데 간악한 백성이 군수를 해치려고 하여 태실(胎室)의 돌난간을 깨뜨렸다. 盜毁明廟胎封。 胎封在瑞山, 姦民欲害郡守, 打破胎室石欄。 |
||
출처: 『선조수정실록』9권, 선조 8년(1575) 11월 1일 을미(乙未) 1번째 기사 |
『선조실록』9권, 선조 8년(1575) 11월 28일 임술(壬戌) 2번째 기사
『숙종실록』50권, 숙종 37년(1711) 10월 22일 정축(丁丑) 2번째 기사
연려실기술
『연려실기술』별집(別集) 2권, 「사전전고(祀典典故)」장태조(藏胎條)
선조 을해년에 서산(瑞山)의 간사한 백성이 그 고을 원을 해하려고 명종(明宗)의 태봉(胎峯) 석란(石欄)을 쳐부셨다.
宣祖乙亥瑞山奸民欲害其宰, 打破明宗胎封石欄。 |
||
출처: 『연려실기술』별집(別集) 2권, 「사전전고(祀典典故)」장태조(藏胎條) |
호산록
『호산록(湖山錄)』[1]「산천(山川)」
태봉은 문수사(文殊寺) 좌쪽 어깨 편에 있으니 명종대왕(明宗大王)의 태를 묻은 곳이다. 봉우리 위에다 또 태사(胎寺) 세 칸(三間)을 지었으며 봉우리 아래에는 태지기(胎直) 10여 호가 살면서 벌목도 금지하고 산불도 금지한다.
胎峰在文殊寺在肩, 明宗大王胎入藏, 峰頂又作胎寺三間, 峰之下胎直十餘家, 禁伐禁火。 |
||
출처: 『호산록(湖山錄)』「산천(山川)」 |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스틸샷 갤러리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이규상, 『한국의 태실』, 청원문화원, 2005.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 충남역사문화연구원,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정밀실측 및 심화연구』, 서산시, 2015.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주석
- ↑ 1619년(광해군 11) 한여현(韓汝賢)이 편찬한 충청도 서산군(현재의 서산시) 읍지. 2권 2책. 필사본. 개인소장. 고경명(高敬命)이 서산군수로 부임하여 편찬하게 하여 뒤에 완성된 사찬읍지(私撰邑誌)로서 충청도 지역에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읍지이다. 이 책은 임진왜란을 겪은 뒤 지방 사회의 모습을 충실히 전해 주는 읍지로서 의의가 크다. 17세기 초 지방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정치 질서의 문란, 향촌의 미풍양속(鄕風)의 붕괴와 좌목(座目) 다툼 등 향촌 사회의 동요, 소금굽기·목장·해상물의 진상 등에서 심각하게 나타났던 관리들의 민폐, 국방의 허술함 등을 지방 사족(士族)의 입장에서 생생하게 기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