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조 태실지
순조 태실(純祖 胎室) | |
식별자 | PC018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순조 태실 |
한자명 | 純祖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Sunjo |
피안자 명칭 | 순조(純祖) |
피안자 이칭 | 이공(李玜)·자(字) 공보(公寶)·호(號) 순재(純齋)·숙황제(肅皇帝)·인릉(仁陵) |
피안자 부 | 정조(正祖) |
피안자 모 | 현목유빈(顯穆綏嬪) 박씨(朴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790.07.29 |
피안자 몰년월일 | 1834.12.13 |
안태 연월일 | 1790.08.12 『순조 태지석』 |
안태지 기록 | 보은현(報恩縣) 『순조실록』 |
안태지 기록1 | 보은태실(報恩胎室) 『승정원일기』 |
안태지 기록2 | 충북 보은군 속리면 『서삼릉 순조 태실 후면 각자』 |
안태지 좌표(위도) | 36°54'71.99"N |
안태지 좌표(경도) | 127°85'51.25"E |
안태지 주소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1-1 |
문화재 지정여부 | 충북 유형문화재 제11호 |
이안 연월일 | 1929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乾隆五十五年庚戌,六月,十八日生,純祖肅皇帝胎,乾隆五十五年庚戌,十一月,藏于報恩郡俗離面,昭和四年,月,日移藏 |
지문 찬자 |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순조 가봉태실 안태지 복원 |
태항아리 | 순조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 1 내용
- 2 관련 기록
- 2.1 조선왕조실록
- 2.2 승정원일기
- 2.2.1 『승정원일기』 1679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6월 24일 계유(癸酉) 13/43 기사
- 2.2.2 『승정원일기』 1679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6월 25일 갑술(甲戌) 30/40 기사
- 2.2.3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6일 갑신(甲申) 11/11 기사
- 2.2.4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7일 을유(乙酉) 15/19 기사
- 2.2.5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8일 병술(丙戌) 5/15 기사
- 2.2.6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8일 병술(丙戌) 15/15 기사
- 2.2.7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24일 임인(壬寅) 12/20 기사
- 2.2.8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4일 임자(壬子) 13/13 기사
- 2.2.9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7/32 기사
- 2.2.10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8/32 기사
- 2.2.11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15/32 기사
- 2.2.12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21/32 기사
- 2.2.13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31/32 기사
- 2.2.14 『승정원일기』 1686책 (탈초본 89책) 정조 15년(1791) 1월 28일 계묘(癸卯) 16/16 기사
- 2.2.15 『승정원일기』 1915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8월 2일 병자(丙子) 22/24 기사
- 2.2.16 『승정원일기』 1915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8월 8일 임오(壬午) 15/26 기사
- 2.2.17 『승정원일기』 1915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8월 9일 계미(癸未) 17/23 기사
- 2.2.18 『승정원일기』 1915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8월 11일 을유(乙酉) 26/31 기사
- 2.2.19 『승정원일기』 1917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9월 20일 갑자(甲子) 21/22 기사
- 2.2.20 『승정원일기』 1918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10월 20일 계사(癸巳) 16/22 기사
- 2.2.21 『승정원일기』 1918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10월 20일 계사(癸巳) 17/22 기사
- 2.2.22 『승정원일기』 1918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10월 21일 갑오(甲午) 20/25 기사
- 2.2.23 『승정원일기』 1918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10월 26일 기해(己亥) 11/11 기사
- 3 지식 관계망
- 4 시각자료
- 5 수치지형도
- 6 전자지도
- 7 참고 자료
- 8 주석
내용
조선 제 23대 국왕 순조의 태실이다.
강원도 홍천·충청도 보은 속리산·음성현 등이 안태지로 거론되었다. 그 중 속리산으로 정해졌다. 정조는 안태 비용으로 저치미(儲置米)를 사용해 지방민들의 피해가 없도록 하였고, 안태사로 오재순(吳載純)을 임명했다. 정조는 안태사부터 하리에 이르기까지 고루 포상하고 안태하고 돌아온 오재순에게 태실에 대해 꼼꼼히 물었다. 이처럼 정조는 순조의 태실을 조성하는데 큰 관심을 기울였다.
순조는 즉위 후 먼저 아버지 정조의 태실을 가봉한 뒤 1806년(순조 6)에 자신의 태실을 가봉하였다. 이 때 순조의 태실 역시 아버지 정조와 같이 영조 태실의 제도를 쫓았다. 태실을 가봉하는데 소용하는 석재는 회인현감이 담당한 것으로 보이며 서표관은 관상감 제조였던 김사목이 맡았다. 그리고 돌을 다듬는 석수와 각수는 서울에서 내려간 이들이었다.
이러한 순조 태실 가봉에 관한 내용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중인 《순조태실석난간조배의궤》(규 13968)에 자세히 전한다. 또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순조 태봉의 모습을 그린 태봉도(덕수 6374)가 전한다. 보은현은 순조 태실 가봉이 이루어지고 4년 뒤 군으로 승격되었다.
순조 태실은 태항아리의 반출이 이루어졌음에도 본래의 모습을 거의 잃지 않았다. 또한 화소비를 비롯해 금표비, 법주사 앞에 하마비가 남아있다.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정조실록』30권, 정조 14년(1790) 7월 6일 갑신(甲申) 1번째 기사
《원자의 태봉 길지를 속리산 아래에 있는 을좌 신향의 자리로 정하다》
원자(元子)의 태봉 길지(胎封吉地)를 보은현(報恩縣) 속리산(俗離山) 아래에 있는 을좌 신향(乙坐辛向)의 자리로 정하였다. 元子胎封吉地, 定于報恩縣 俗離山下乙坐辛向。 |
||
출처: 『정조실록』30권, 정조 14년(1790) 7월 6일 갑신(甲申) 1번째 기사 |
『정조실록』30권, 정조 14년(1790) 7월 7일 을유(乙酉) 3번째 기사
《홍양호·김희·오재순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홍양호(洪良浩)를 이조 판서로, 김희(金憙)를 발탁하여 형조 판서로, 오재순을 안태사(安胎使)로 삼았다. 以洪良浩爲吏曹判書, 擢金憙爲刑曹判書, 以吳載純爲安胎使。 |
||
출처: 『정조실록』30권, 정조 14년(1790) 7월 7일 을유(乙酉) 3번째 기사 |
『정조실록』31권,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1번째 기사
『순조실록』9권, 순조 6년(1806) 10월 20일 계사(癸巳) 1번째 기사
『순조실록』13권, 순조 10년(1810) 5월 25일 무인(戊寅) 2번째 기사
《태실을 봉한 보은현을 군으로 승격시키다》
보은현(報恩縣)을 군(郡)으로 승격시켰는데, 태실(胎室)을 봉(封)한 후에 관례대로 승격시킨 것이다. 陞報恩縣爲郡, 胎室加封後例陞也。 |
||
출처: 『순조실록』13권, 순조 10년(1810) 5월 25일 무인(戊寅) 2번째 기사 |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1679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6월 24일 계유(癸酉) 13/43 기사
傳于曺允大曰, 藏胎吉日, 從近推擇。凡係貽弊民邑之事, 令該監一提調, 詳考前例, 務加節省。此亦祈永之意, 仍以此意, 待處所稟定後, 令廟堂行會, 嚴飭胎封該道。 | ||
출처: 『승정원일기』 1679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6월 24일 계유(癸酉) 13/43 기사 |
『승정원일기』 1679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6월 25일 갑술(甲戌) 30/40 기사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6일 갑신(甲申) 11/11 기사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7일 을유(乙酉) 15/19 기사
洪義榮, 以觀象監提調意啓曰, 元子阿只氏, 胎峯吉地, 以忠淸道報恩縣內俗離下, 乙坐辛向, 完定事, 昨已, 命下矣。吉地旣已完定, 藏胎吉日時, 令日官, 推擇以入, 何如?
傳曰, 允。 |
||
출처: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7일 을유(乙酉) 15/19 기사 |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8일 병술(丙戌) 5/15 기사
《吏批의 관원현황》
有政。吏批, 判書洪良浩未肅拜, 參判未差, 參議曺允大進, 右承旨徐瀅修進。以趙衍德爲光州牧使, 安胎使單吳載純。 |
||
출처: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8일 병술(丙戌) 5/15 기사 |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8일 병술(丙戌) 15/15 기사
『승정원일기』 1680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7월 24일 임인(壬寅) 12/20 기사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4일 임자(壬子) 13/13 기사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7/32 기사
傳于李敏采曰, 安胎使留待。 | ||
출처: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7/32 기사 |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8/32 기사
傳于李敏采曰, 安胎使入侍。 | ||
출처: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8/32 기사 |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15/32 기사
柳文養, 以吏批言啓曰, 胎封監役都差使員報恩縣監金載翼加資事, 命下矣。未及資窮, 又未經準職, 何以爲之? 敢稟。傳曰, 加資。 | ||
출처: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15/32 기사 |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21/32 기사
『승정원일기』 1681책 (탈초본 89책) 정조 14년(1790) 8월 17일 을축(乙丑) 31/32 기사
『승정원일기』 1686책 (탈초본 89책) 정조 15년(1791) 1월 28일 계묘(癸卯) 16/16 기사
『승정원일기』 1915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8월 2일 병자(丙子) 22/24 기사
李文會, 以觀象監領事提調意啓曰, 胎室加封事, 旣伏承待秋成擧行之命矣, 該道年事, 可占豐登, 凡諸擧行, 不可不前期整備, 俾無臨時窘速之弊, 令地方官兼監役, 爲先浮石, 以隣近守令, 定差使員監董事, 分付道臣之意, 敢啓。
傳曰, 知道。 |
||
출처: 『승정원일기』 1915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8월 2일 병자(丙子) 22/24 기사 |
『승정원일기』 1915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8월 8일 임오(壬午) 15/26 기사
『승정원일기』 1915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8월 9일 계미(癸未) 17/23 기사
李文會, 以觀象監領事·提調意啓曰, 在前胎室加封時, 本監官員一員, 臨時下送, 監董工役, 奏時, 仍令兼行矣, 今亦依此磨鍊, 何如?
傳曰, 允。 |
||
출처: 『승정원일기』 1915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8월 9일 계미(癸未) 17/23 기사 |
『승정원일기』 1915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8월 11일 을유(乙酉) 26/31 기사
申絢, 以觀象監領事·提調意啓曰, 胎室加封時, 觀象監提調·繕工監提調各一員進去監董, 例也, 而曾在乙巳景慕宮胎室加封時, 因特敎, 兩監提調中一員, 兼進擧行, 書標官, 亦爲兼差, 故辛酉年先大王胎室加封時, 亦用此例矣。 今亦例此擧行, 何如?
傳曰, 允。 |
||
출처: 『승정원일기』 1915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8월 11일 을유(乙酉) 26/31 기사 |
『승정원일기』 1917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9월 20일 갑자(甲子) 21/22 기사
『승정원일기』 1918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10월 20일 계사(癸巳) 16/22 기사
傳于柳畊曰, 胎室加封時觀象監提調以下, 別單書入。 | ||
출처: 『승정원일기』 1918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10월 20일 계사(癸巳) 16/22 기사 |
『승정원일기』 1918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10월 20일 계사(癸巳) 17/22 기사
『승정원일기』 1918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10월 21일 갑오(甲午) 20/25 기사
『승정원일기』 1918책 (탈초본 101책) 순조 6년(1806) 10월 26일 기해(己亥) 11/11 기사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스틸샷 갤러리
수치지형도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