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관련 기록) |
잔글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
||
488번째 줄: | 488번째 줄: | ||
*오건(吳健), 『덕계집(德溪集)』, 1827, 국립중앙도서관 및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오건(吳健), 『덕계집(德溪集)』, 1827, 국립중앙도서관 및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
*정경운(鄭慶雲), 『고대일록(孤臺日錄)』, 1592 ~ 1609,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 *정경운(鄭慶雲), 『고대일록(孤臺日錄)』, 1592 ~ 1609,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 ||
+ | *위창조(魏昌祖), 『북도능전지北道陵殿誌)』, 175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
2020년 7월 25일 (토) 19:37 판
태조 태실(太祖 胎室) | |
식별자 | PC001 |
---|---|
분류 | 국왕 태실 |
한글명 | 태조 태실 |
한자명 | 太祖 胎室 |
영문명 | Placenta Chamber of King Taejo |
피안자 명칭 | 태조(太祖) |
피안자 이칭 | 이성계(李成桂)·이단(李旦)·초자(初字) 중결(仲潔)·자(字) 군진(君晉)·호(號) 송헌(松軒)·강헌대왕(康獻大王)·고황제(高皇帝)·건원릉(建元陵) |
피안자 부 | 환조(桓祖) |
피안자 모 | 의혜왕후(懿惠王后) 최씨(崔氏) |
피안자 생년월일 | 1335.10.11 |
피안자 몰년월일 | 1408.05.24 |
안태 연월일 | 1393.01.07 『태조실록』 |
안태지 기록 | 완산부 진동현 가봉 후 진주로 승격 |
안태지 기록1 | 영흥(永興) 준원전(濬源殿) 『임하필기』 |
안태지 기록2 | 진산(珍山) 만인산(萬仞山) 『정조실록』 |
안태지 기록3 | 전북 금산군 추부면 『서삼릉 태조 태실 후면 각자』 |
안태지 좌표(위도) | 36°19'47.38"N |
안태지 좌표(경도) | 127°45'26.68"E |
안태지 주소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4 |
문화재 지정여부 | 미지정 |
이안 연월일 | 1929 추정 |
이안지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
이안지 좌표(위도) | 37°66'45.61"N, |
이안지 좌표(경도) | 126°86'06.29"E |
지문 | 高麗忠肅王後四年乙亥十月十一日生,太祖高皇帝胎,康熙二十八年 己巳三月二十九日藏于太田郡山內面,昭和四年,月,日,移葬 |
지문 찬자 |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
지문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석물 | 태조 가봉태실 복원 |
태항아리 | 태조 태지석 및 외항아리 몸체와 뚜껑 |
태항아리 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
목차
- 1 내용
- 2 태실 터 현황
- 3 관련 기록
- 3.1 조선왕조실록
- 3.1.1 『태조실록』2권, 태조 1년(1392) 11월 27일 갑진(甲辰) 3번째 기사
- 3.1.2 『태조실록』3권, 태조 2년(1393) 1월 2일 무신(戊申) 1번째 기사
- 3.1.3 『태조실록』3권, 태조 2년(1393) 1월 7일 계축(癸丑) 4번째 기사
- 3.1.4 『태종실록』26권, 태종 13년(1413) 9월 22일 무술(戊戌) 1번째 기사
- 3.1.5 『세종실록』13권, 세종 3년(1421) 10월 10일 기해(己亥) 5번째 기사
- 3.1.6 『세종실록』151권, 「지리지」, 《전라도》〈전주부 - 진산군〉
- 3.1.7 『숙종실록』15권, 숙종 10년(1684) 8월 29일 임술(任戌) 4번째 기사
- 3.1.8 『영조실록』83권, 영조 31년(1755) 1월 4일 무인(戊寅) 2번째 기사
- 3.1.9 『정조실록』18권, 정조 8년(1784) 9월 15일 정묘(丁卯) 1번째 기사
- 3.2 승정원일기
- 3.2.1 『승정원일기』 323책 (탈초본 17책) 숙종 13년(1687) 7월 24일 경자(庚子) 8/8 기사
- 3.2.2 『승정원일기』 331책 (탈초본 17책) 숙종 14년(1688) 9월 8일 정축(丁丑) 11/19 기사
- 3.2.3 『승정원일기』 334책 (탈초본 17책) 숙종 15년(1689) 윤 3월 5일 임인(壬寅) 8/36 기사
- 3.2.4 『승정원일기』 334책 (탈초본 17책) 숙종 15년(1689) 윤 3월 7일 갑진(甲辰) 8/24 기사
- 3.2.5 『승정원일기』 334책 (탈초본 17책) 숙종 15년(1689) 윤 3월 10일 정미(丁未) 30/33 기사
- 3.2.6 『승정원일기』 587책 (탈초본 31책) 영조 1년(1725) 2월 25일 계사(癸巳) 38/37 기사
- 3.2.7 『승정원일기』 589책 (탈초본 32책) 영조 1년(1725) 3월 21일 기미(己未) 47/51 기사
- 3.2.8 『승정원일기』 720책 (탈초본 39책) 영조 7년(1731) 4월 5일 정유(丁酉) 29/29 기사
- 3.3 고대일록
- 3.4 덕계집
- 3.5 임하필기
- 3.6 북도능전지
- 3.1 조선왕조실록
- 4 지식 관계망
- 5 시각자료
- 6 수치지형도
- 7 전자지도
- 8 참고 자료
- 9 주석
내용
조선 제1대 국왕 태조의 태실이다. 함경도 영흥에 있었던 안태지는 조성시점이 명확하지 않다. 태조는 1392년 7월 17일 국왕으로 즉위 한 뒤 정당 문학(政堂文學) 권중화(權仲和)를 태실증고사(胎室證考使)로 삼아 안태(安胎) 할 땅을 잡게 하였다. 권중화는 이듬해 전라도 진동현으로 안태지로 선정하고 산수형세도(山水形勢圖)를 올렸고, 1월 7일 태조의 태실을 안치한 뒤 진동현을 진주부(珍州府)로 승격하였다.
1413년(태종 13) 9월 온행을 하던 태종은 진주(珍州) 원산(猿山)에서 태조의 태실에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 이후 태실에서는 3년에 한 번 태실안위제(胎室安慰祭)를 지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태실에서 이루어진 제사는 이후 세종의 명령으로 구례(舊例)를 상고하게 하여 폐지되었다.
태실에서 지내는 제사는 폐지되었지만 관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봉심을 통해 수리가 필요한 부분이 발견되면 해당 도의 감사(監司)와 관상감, 선공감의 제조가 함께 수리를 했다. 다만 경제사정으로 보수 시점을 미루기도 하였다. 태조 태실의 경우 1687년(숙종 13) 태조 태실의 석물에 문제가 발견되었으나 호남지역 기근으로 이듬해 가을로 보수 시점이 미루어졌다. 그러나 이듬해 가을에도 인조 계비 장렬왕후의 국상이 발생하여 다시 다음해 봄에 개수를 하였다. 이후 1725년(영조 1) 태조태실의 보수 사실이 확인된다.
일본제국이 대한제국을 병합한 이후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는 이유를 들어 1929년부터 각지에 흩어져있던 조선의 국왕과 세자, 대군과 군, 공주와 옹주 등 왕실의 태를 일괄로 서삼릉 능역 으로 이전하였다. 현재 태조 가봉 태실의 초안지는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이나 원 위치에는 분묘가 조성되어 있고, 석물들은 추부터널 옆으로 자리를 옮겨 보존되고 있다. 태조 태실 석물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1호로 지정되었다.
태실 터 현황
이왕직(李王職)에 의해 서삼릉으로 이장되기 이전 태조 태실 터 초안지의 주소는 다음과 같다.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4
금산군 관광문화체육과 문화예술부 김성수 주무관의 제보에 의하면 해당 태실 터는 현재 개인 소유의 토지가 되어 태조 태실이 문화재로 지정되는데 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고 한다. 상술한 주소지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바로 인접한 한일산업 금산공장이 위치한 부근에서 올라가야 한다. 흙이 굉장히 미끄러워 올라가고 내려옴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며, 태실 터로 올라가는 도중에 개인이 경작한 밭이 눈에 띈다. 태조 태실의 초안지에 들어서면 제보와 같이 상석, 망주석 등을 갖춘 민묘 1기가 자리하고 있는데 해당 민묘가 바로 옛 태조 태실의 초안지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라 추측이 가능하다. 다만 해당 민묘로 인해 태실 터의 경관 자체가 크게 훼손되어 태실이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으리라고 추정하기에는 다소 힘들어보인다.
태조 태실이 복원되어 옮겨진 주소는 다음과 같다.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산 1-86
해당 주소지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추부터널을 지나 만인산 휴게소 인근의 주차장 쪽에서 이동해야 한다. 추부터널을 지나기 이전 「태조대왕태실」이라는 주차장 안내 표지판이 존재하나 이는 「태실 자생식물원」의 주차장이며 복원된 태실과 상당한 거리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만인산 주차장 쪽에서 만인산으로 진입하면 태실로 향하는 표지판이 존재해 이를 따라 이동해 복원 태실에 도착할 수 있다. 복원 태실에는 숙종 15년(1689)에 태실을 정비하면서 새로이 건립한 「태조대왕태실비(太祖大王胎室碑)」와 태조 재위기 영흥에서 진동현으로 태실을 이안할 때 사용했던 개첨석(蓋簷石)과 중동석(中童石)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난간주석 및 동자석, 판석과 상석(裳石) 등은 최근 들어 복원한 것으로 과연 이것이 태조 재위기 건립한 가봉 태실의 양식과 동일한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관련 기록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2권, 태조 1년(1392) 11월 27일 갑진(甲辰) 3번째 기사
《정당 문학 권중화를 보내 안태할 땅을 살피게 하다》
정당 문학(政堂文學) 권중화(權仲和)를 보내어 양광도(楊廣道)·경상도·전라도에서 안태(安胎) 할 땅을 잡게 하였다. 遣政堂文學權仲和于楊廣、慶尙、全羅道, 相安胎之地。 |
||
출처: 『태조실록』2권, 태조 1년(1392) 11월 27일 갑진(甲辰) 3번째 기사 |
『태조실록』3권, 태조 2년(1393) 1월 2일 무신(戊申) 1번째 기사
『태조실록』3권, 태조 2년(1393) 1월 7일 계축(癸丑) 4번째 기사
『태종실록』26권, 태종 13년(1413) 9월 22일 무술(戊戌) 1번째 기사
『세종실록』13권, 세종 3년(1421) 10월 10일 기해(己亥) 5번째 기사
『세종실록』151권, 「지리지」, 《전라도》〈전주부 - 진산군〉
《전라도》〈전주부 - 진산군〉
본조 태조(太祖) 2년 계유에 태조의 태실(胎室)을 봉안하였으므로 지진주사(知珍州事)로 승격하였으며, 태종(太宗) 13년 계사에 예(例)에 의하여 진산군으로 고쳤다. 本朝太祖二年癸酉, 以安太祖胎室, 陞知珍州事。 太宗十三年癸巳, 例改珍山郡, 別號玉溪。 |
||
출처: 『세종실록』151권, 「지리지」, 《전라도》〈전주부 - 진산군〉 |
『숙종실록』15권, 숙종 10년(1684) 8월 29일 임술(任戌) 4번째 기사
『영조실록』83권, 영조 31년(1755) 1월 4일 무인(戊寅) 2번째 기사
『정조실록』18권, 정조 8년(1784) 9월 15일 정묘(丁卯) 1번째 기사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323책 (탈초본 17책) 숙종 13년(1687) 7월 24일 경자(庚子) 8/8 기사
『승정원일기』 331책 (탈초본 17책) 숙종 14년(1688) 9월 8일 정축(丁丑) 11/19 기사
『승정원일기』 334책 (탈초본 17책) 숙종 15년(1689) 윤 3월 5일 임인(壬寅) 8/36 기사
《太祖 胎室의 石物을 修改할 때 堂上 이하를 書啓하라는 전교》
傳于權瑍曰, 今此太祖大王胎室石物修改時, 堂上以下, 依例書啓。 |
||
출처: 『승정원일기』 334책 (탈초본 17책) 숙종 15년(1689) 윤 3월 5일 임인(壬寅) 8/36 기사 |
『승정원일기』 334책 (탈초본 17책) 숙종 15년(1689) 윤 3월 7일 갑진(甲辰) 8/24 기사
『승정원일기』 334책 (탈초본 17책) 숙종 15년(1689) 윤 3월 10일 정미(丁未) 30/33 기사
『승정원일기』 587책 (탈초본 31책) 영조 1년(1725) 2월 25일 계사(癸巳) 38/37 기사
『승정원일기』 589책 (탈초본 32책) 영조 1년(1725) 3월 21일 기미(己未) 47/51 기사
『승정원일기』 720책 (탈초본 39책) 영조 7년(1731) 4월 5일 정유(丁酉) 29/29 기사
고대일록
『고대일록』 제3권, 무술(戊戌, 1598) 가을 7월
덕계집
『덕계집』 제4권, 「계(啓)」
임하필기
『임하필기』 제31권 「순일편(旬一編)」
북도능전지
『북도능전지』, 「준원전(濬源殿) - 고실(故實)」
《준원전(濬源殿) - 고실(故實)》
初僧無學住薪寺【在殿基西南五里許】一日望氣來告桓祖曰, 公將生貴子及至。 太祖誕生時來, 納米藿酱三種曰, 王者必生須善保養云。 殿基舊有龍淵, 太祖誕降初藏御胎, 於淵中後填其淵【本殿錄曰, 填淵時, 胎缸則移奉, 於全羅道珍山郡萬仞山】。 |
||
출처: 『북도능전지』, 「준원전(濬源殿) - 고실(故實)」 |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계보도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스틸샷 갤러리
수치지형도
전자지도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이유원(李裕元), 『임하필기(林下筆記)』, 187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오건(吳健), 『덕계집(德溪集)』, 1827, 국립중앙도서관 및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정경운(鄭慶雲), 『고대일록(孤臺日錄)』, 1592 ~ 1609,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 위창조(魏昌祖), 『북도능전지北道陵殿誌)』, 175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